“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스웨덴이 빛을 발할 수밖에 없죠.”
안 회그룬드 주한 스웨덴 대사는 “디지털화가 핵심인 4차 산업혁명은 스웨덴에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과정일 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스웨덴은 이미 고도로 산업화된 국가다.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한 세계정보통신 보고서(2009~2010)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국가 1위를 차지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혁신적인 국가로 선정됐다. 북유럽 강소국이 괜한 말이 아니다.
스웨덴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2016년 '스마트 인더스트리'라는 전략을 세웠다. 혁신적이고 지속가능한 생산에서 세계 선도가 목표다.
회그룬드 대사는 “인구 1000만에 불과한 스웨덴은 내수시장이 작아 한국처럼 수출 비중이 높다”면서 “세계 시장 의존도가 클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스웨덴이 세계 시장 트렌드와 기술 변화에 민감하고 적응이 빠른 이유다.
기술과 혁신 중심엔 스타트업이 있다. 수도인 스톡홀름은 '유럽 스타트업 허브'로 불린다. 스카이프, 스포티파이, 킹, 모장 등 배출된 유니콘 기업만 여럿이다.
스톡홀름에 있는 '시스타(Kista) 사이언스 파크'는 북유럽 실리콘밸리다. 여의도 크기 절반에도 못 미치는 이곳에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이 밀집했다. 스웨덴 대표 글로벌 기업 에릭슨 본사가 있다. IBM, 마이크로소프트(MS), 선마이크로시스템 등 다국적 정보통신 기업도 한자리씩 차지했다.
회그룬드 대사는 “스웨덴에서는 혁신적 아이디어만 있으면 창업이 가능하다”면서 “큰 기업이 작은 기업에 투자하고, 성장을 돕는 일이 자연스럽다”고 소개했다.
바탕엔 합의와 협력이라는 스웨덴 문화가 있다. 스마트 인더스트리 전략도 정부가 세웠지만 기업과 노조, 학계 등 다양한 분야 자문을 거쳤다.
회그룬드 대사는 “스웨덴은 충돌보다 대화로 합의하는 방식을 추구한다”면서 “공통 이해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합의가 도출되고 협력한다”고 설명했다.
합의와 협력은 노사대타협이라 불리는 살트셰바덴 협약 이후 80년째 지켜온 약속이다. 단순한 노동쟁의 타결을 뛰어 넘어 정치, 경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냈다는 평가다.
이후 노동조합총연맹(LO)은 필요 시 임금 삭감과 노동시간 연장, 해고 등을 받아들였다. 스웨덴 기업을 대표하는 경영자총연합회(SN)에서는 최대 85%에 달하는 소득세와 최고 수준 복지를 약속했다. 기업 경영회의에 노조위원이 참여, 목소리를 낼 수도 있다.
기업 상황에 따라 해고가 자유로워졌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 강력한 사회보장제도가 뒷받침한다.
스웨덴식 사회보장제도는 도덕적 해이를 양산하는 단순 재정 지원과 다르다. 노동 시장 문제를 재교육으로 풀었다. 스웨덴에서는 교육을 한창 시절에 국한하지 않는다고 회그룬드 대사는 설명했다.
덕분에 스웨덴 국민 교육 수준은 매우 높다. 인구의 95%가량이 영어를 쓴다. 국내는 물론 국가 간 협력도 손쉽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직업군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회그룬드 대사는 “스웨덴 경쟁력은 결국 합의와 협력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화된 산업, 지속 가능한 생산방식, 혁신적 사업 환경”이라면서 “혁신과 교육에 대한 투자, 강력한 사회보장제도, 재교육을 통해 가치 사슬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유창선 성장기업부 기자 yud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