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을 기점으로 도로에 등장할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앞두고 '스마트 인프라'가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주행을 위해 실시간 교통정보 시스템과 V2X(차량·사물 간 통신) 등을 포함한 스마트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전자신문사가 주최한 '2018 국제 미래자동차 포럼'이 1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렸다. 이날 포럼에 강연자로 나선 정부와 업계 전문가들은 자동차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체인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과 기술개발 동향, 관련 산업 전망을 발표했다.
김창기 국토교통부 첨단자동차기술과 사무관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자율주행차 상용화 토대를 마련해 2020년 고속도로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3에 대응하고, 2022년까지 레벨4 이상 완전 자율주행차를 확산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민간이 혁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자율주행차 시험 도시 K-city 고도화를 통한 기술개발 기반 마련, 정밀도로지도 등 스마트 인프라 구축, 민관 협의회 구성 등 인프라 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자율주행차 조기 상용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김 사무관은 “단계적 정책 추진 로드맵을 통해 자율주행 관련 업계의 동반 성장을 지원하겠다”면서 “민관 협의체 구성, 통신 단말기 공동 개발 등 협력 체계 구축은 물론 관련 스타트업 육성과 글로벌 표준 정립 등 제도 기반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자율주행차 스마트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V2X 등 통신 기술력을 확보해야 한다. 자율주행차가 요구하는 대규모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5G 차량 통신 기술 인프라가 필수적이다.
홍승표 SK텔레콤 부장은 “5G 초고속 통신은 자율주행차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보안 등 ICT 기술이 융합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한다”면서 “5G 실증을 위해 글로벌 협의체인 5GAA(5G Automotive Association)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호진 퀄컴코리아 부장은 “텔레매틱스 기술과의 강력한 시너지 효과로 V2X 안전성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면서 “독일과 프랑스, 한국 등 세계 각국 제조사, 산업 주체들과 함께 V2X 검증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이르면 내년부터 차량에 상용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율주행차 인프라와 기술이 다양한 산업에서 파급효과를 일으킬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미래차에 탑재될 자동 제어와 자율주행 기술이 다른 제조업은 물론 교통수단, 도시 개발 등에 적용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교통관제센터가 자율주행차 영상과 레이다 센서로 수집한 도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특정 도로 성능 저하 원인을 찾아 도로 인프라를 정비하는 유지보수 업무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곽수진 자동차부품연구원 박사는 “자율주행 기술이 향후 도로 인프라 유지관리 고도화는 물론 고령자 이동 서비스, 생산·제조 현장 협업과 무인화 등 다양한 산업군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정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그룹장은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면 기존 자동차 제조사, 전장부품사는 물론 소프트웨어, 반도체, 디스플레이, 카셰어링 등 다양한 업계에 신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정치연 자동차 전문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