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의 흔적 '엔그램' 비밀 풀 실마리 찾았다

국내 연구진이 뇌 속 특정 기억의 흔적인 '엔그램' 형성 기전을 새로 발견했다.

호원경 서울대 교수·김수연 박사 연구팀은 엔그램 형성의 핵심 기전에 대한 새로운 실마리를 찾았다고 12일 밝혔다.

해마 내 치아이랑 과립세포의 세포체와 수상돌기에서 동시에 기록한 전기신호
해마 내 치아이랑 과립세포의 세포체와 수상돌기에서 동시에 기록한 전기신호

엔그램은 뇌 안에 존재하는 기억의 실체·흔적을 의미하는 용어다. 신경과학 관점에서 기억은 학습을 통해 발생한 뇌 안의 물리적·화학적 변화를 의미한다.

해마는 학습과 기억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이다. 해마의 치아이랑, 과립세포에서 특정 기억을 담은 엔그램이 나타난다. 특정 경험이 장기 저장되려면 '장기강화작용'이 필수적이라고 알려졌다.

연구팀은 장기강화작용의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 흔히 알려진 과립세포의 장기강화작용과 달리 수상돌기 말단으로 들어오는 강한 입력 신호가 자체 스파이크를 생성, 같은 작용을 이끌어낸다는 사실을 밝혔다.

김수연 서울대 박사
김수연 서울대 박사

김수연 박사는 “향후 치아이랑 네트워크의 중요한 정보 처리과정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 저널 '이라이프'에 실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