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들이 보드게임을 하면서 교통안전 사항을 배우고 가상현실(VR)기기로 보행 안전 체험도 한다.
국토교통부는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교통안전공단 등과 함께 어린이 및 고령자를 대상으로 놀이형 교재·VR 등을 활용한 '연령별 맞춤형 교통안전교육'을 16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유치원 및 초등학교 어린이, 중·고등학생 및 고령자 등 연령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체험교육으로 진행된다. 유치원 640개원 및 초등학교 720개교 등 총 1360개교(원)을 선정했으며, 유치원생은 스티커북 및 보드게임 등 놀이형 교재 등을 활용한 참여형 교육으로 진행한다. 초등학생은 등하교 시 위험사례에 대한 예방법을 퀴즈형 방식으로 실시하고, 보행안전 교육용 가상현실(VR) 체험교육도 병행한다.
![보드게임·VR로 '연령별·맞춤형 교통안전교육'실시](https://img.etnews.com/photonews/1804/1062134_20180415125629_427_0001.jpg)
청소년 교육을 위해서는 이륜차 및 자전거 안전수칙 등의 영상을 전국 5573개 중·고등학교에 배포한다. 고령자 교육도 진행한다. 노인복지관 및 노인교실 등 1743개 시설을 방문해 신체 변화와 사고 특성 등을 쉽게 공감할 수 있도록 실험영상을 제작, 고령자와 상호 소통방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맞춤형 교통안전교육은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어머니 안전지도자회 전문강사 250여 명을 양성하여 진행한다.
황성규 국토부 종합정책관은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교통안전 습관이 생활화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면서 “교통안전의식 수준을 높여 사회 전반에 교통안전문화가 조기에 정착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 시민단체 등 사회 공동체 모두가 힘을 합쳐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보경 정책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