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은행 생산적 자금공급 역할 미흡...금감원 "생산적 금융 활성화 유도하겠다"

지난해 은행의 생산적 자금공급 역할이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생산을 유발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생산적 대출' 비중이 하락했다. 기업 구조조정 본격화 등으로 은행이 주택담보대출 등 안전자산 위주로 여신정책을 변경한 탓이다.

지난해 은행 생산적 자금공급 역할 미흡...금감원 "생산적 금융 활성화 유도하겠다"

금융감독원은 15일 '은행의 생산적 자금공급 현황'을 발표했다. 김 원장이 취임한 직후 “금융감독 관련 분석 자료 및 통계를 외부에 공개하고 의견을 수렴하자”고 밝힌 데 따른 수순이다. 첫 번째 주제로 은행의 생산적 자금공급 현황을 선정, 은행의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로 했다.

국책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을 제외한 14개 일반은행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은행의 생산적 자금공급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 총 대출 잔액 중 생산적 대출 비중은 2010년 말 대비 6.9~9.0%포인트(P) 하락했다. 생산적 대출은 기업대출 잔액을 △생산유발 △일자리창출 △신용대출 3가지 측면에서 영향력·감응도계수, 고용유발계수 등으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환산한 개념이다.

생산유발 기준 생산적 대출 비중은 2011년 말 소폭 상승했지만 2013년 이후 하락폭이 커지면서 37.1%까지 하락했다. 2010년 말 대비 8.3%P 떨어졌다. 부동산업 대출이 107.7% 증가한 반면에 생산유발 효과가 큰 업종(전자, 철강 등)의 대출은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자리창출 효과도 떨어졌다. 2013년 말 이후 고용 창출효과가 큰 건설 등 대출이 감소한 탓에 생산적 대출 비중은 2010년 대비 6.9%P 낮아진 37.8%를 기록했다.

은행의 리스크 회피 경향 심화로 2015년 이후 신용대출 금액이 감소하며 신용대출 기준 생산적 대출 비중도 하락세를 타고 있다.

신용대출 잔액은 2010년 208조9000억원에서 지난해 198조1000억원까지 하락했다. 비중도 같은 기간 25.2%에서 16.2%로 감소했다.

금감원은 생산적인 부문에 대한 자금공급 확대로 경제 활성화에 기여해야하는 은행이 기업대출은 줄이고 담보대출 등을 확대했다고 진단했다. 총 대출 대비 기업대출 비중도 2010년 48.8%에서 지난해 46.7%로 하락했다. 특히 법인 기업 대출 하락폭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모든 은행들이 안전자산 위주로 여신정책·전략을 변경하면서 생산적 자금공급 역할이 저하됐다”면서 “정밀한 신용리스크 분석을 통해 유망 벤처 및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