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대형 철도사고 '제로(0)'를 목표로 2조5000억원을 투자한다. 보안·재난 대응을 위해 3D공간 앱과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위험 요소를 사전에 감지한다.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철도안전산업을 활성화한다.
국토교통부는 노후시설 개량, 종사자 중심 작업안내서 정비, 사물인터넷 기반 차량·시설관리 등을 담은 '2018년 철도안전 시행계획'을 17일 확정했다.
철도안전 시행계획은 철도안전법에 따른 '철도안전 종합계획'의 연차별 계획이다. 국토부·철도공사·교통안전공단·서울교통공사·철도기술연구원 등 국내 25개 철도 유관기관의 정책 방향이다.
올해는 대형사고(사망자 5명 이상) 제로, 최근 3년 대비 철도사고는 15%, 철도 사망자는 5% 줄이는 것이 목표다.
국토부는 노후 안전시설 보완 등 인프라 확충에 1조6000억원을 투입한다. 오래된 수도권 노선 설비를 집중 개량하고, 노후 도시철도 시설을 바꾼다. 지진에 대비한 고속철도의 내진보강을 당초보다 앞당겨 올해까지 마무리한다.
노후차량 정비와 관제센터 설비 보완 등 운행 안전에 6500억원을 지원한다. 철도안전산업 활성화에 1100억원을 투자한다. △신호 국산화 △IoT를 이용한 차량·시설 실시간 관리 시범사업 △철도종합시험선로, 완성차시험센터 등 시험 인프라 △미래핵심철도차량 부품개발 계획 수립 등이다.
지난 해 발생한 광운대역, 온수역 사고처럼 현장 작업자 사고 방지 대책도 추진한다. 모든 운영기관의 현장 작업안내서를 종사자 안전을 우선으로 전면 재정비한다. 주간 선로점검 시간(1시간)을 확대하고, 철도시설 개량사업 등은 운행시간 종료 후에 시행한다.
IoT·드론 등을 활용해 철도차량·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첨단·과학화한다. IoT로 철도시설 이상상태를 실시간 감지, 대응한다. 빅데이터 분석 등을 활용해 위험도가 높은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집중관리한다. 이를 포함해 첨단 기술을 통한 보안·재난대응 역량 강화에 570억원을 투입한다.
현장과의 소통도 강화한다. 조직·인력 등 종합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안전수준평가제와 안전투자공시제를 도입한다.
현장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노사정 협의체, 전문가·협회 등과의 정책 토론회, 경진대회 등을 개최해 철도안전문화 확산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박영수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올해를 국토교통 안전강화 원년으로 삼아 철도종사자 안전을 확보하면서 국민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철도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804/1062963_20180417133530_074_0001.jpg)
문보경 정책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