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연구소, 공기업 등 연구개발(R&D) 역량이 우수한 기관이 밀집한 소규모 지역도 '특구'로 지정받는다. 연구소 기업 설립 조건과 특구 관리 규제도 대폭 완화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특구법') 시행령 개정안을 8일 공포·시행한다고 밝혔다.
시행령은 '연구개발특구 발전과 연구소기업 육성 방안' 주요 내용을 입법화했다. 특구 개발·관리 관련 규제도 개선했다.
지자체 참여와 특구의 '자연적 성장'을 전제로 하는 소규모 특구 지정모델(이하 강소특구)을 새로 도입하고 세부기준을 마련했다. 기존 특구와 구분해 대학, 연구소, 공기업 등 R&D 보유 역량이 우수한 기술 핵심기관 중심의 소규모 집약 공간을 특구로 지정하는 기준을 신설했다.
핵심기관과 지자체 간 협약 체결을 의무화했다. 새로운 특구의 효율적 지정과 관리를 위해 신규지정 총량을 20㎢로 정했다.
연구성과 사업화를 위해 연구소기업의 설립주체도 확대했다. 대학, 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 범위에 R&D를 수행하는 공기업과 연구중심병원을 추가했다. 연구소기업 설립 시 공공연구기관의 최소 지분율 요건을 현행 20%에서 자본금 규모에 따라 차등 적용하도록 완화했다. 지금까지 공공연구기관이 연구소기업 자본금의 20%를 투자해야 했다. 앞으로는 연구소기업 자본금이 50억원 이상이면 10%, 10억원∼50억원이면 15%, 10억원 미만이면 20%를 투자하면 된다.
특구 관리 관련 규제도 완화했다. 생산시설과 지원시설을 같이 설치할 수 있는 산업복합구역을 신설했다. 지자체·입주기관의 규제개선 요청을 수용해 용도구역별 허용 건축물 종류를 확대했다. 도시계획시설 부지와 신기술·신산업 육성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용도규제를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특구관리계획 변경 범위를 확대해 소규모 토지의 용도 조정이나 관련계획 반영 행정절차를 간소화했다. 교육·연구 및 사업화시설구역에서 적용하는 양도제한 기준을 특구지정 시점에 따라 구분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연구성과정책관은 “시행령 개정을 통해 특구를 집약적 혁신공간으로 조성하는 기반이 마련됐다”면서 “유연한 특구관리를 통해 여건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호 산업정책부기자 snoop@etnews.com
-
최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