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최대 리스크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통상압력"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위험성이 지난해보다 크게 높아졌다. 가계부채도 국내 금융시스템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뽑혔다. 반면 평창동계올림픽과 남북정상회담 등으로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감소했다.

"한국경제 최대 리스크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통상압력"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18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금융기관 종사자와 금융전문가 중 76%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을 주요 요인으로 선정했다. 이어 가계부채(74%), 미 연준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60%), 부동신시장 불확실성(50%) 순이었다.

이는 개별 응답자가 선정한 5개 리스크 요인을 순위에 관계없이 단순집계해 전체 응답자(72명) 절반 이상이 선정한 것을 의미한다. 복수응답을 반영했다.

지난해 11월 진행된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이 주요 요인으로 편입됐다. 응답률이 26%에서 76%까지 크게 상승했다.

가계부채 응답률은 소폭 떨어지며 2위로 밀렸다. 미 연준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응답률과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응답률도 하락했다.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응답률이 82%에서 38%로 낮아지며 주요 리스크 요인에서 제외됐다.

1년 이내 미 연준 금리 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1년에서 3년 이내 가계부채 누증도 어느 정도 발생할 것으로 확인됐다.

리스크 발생 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역 가중, 가계부채 누증,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은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클 것으로 관측됐다.

응답자들은 단기(1년 이내)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56%)고 평가했다. 지난 조사 결과(53%) 대비 해당 응답 비율이 소폭 상승했다. 반면, 중기(1-3년) 금융리스크 발생 가능성은 '높다(38%)'가 '낮다(20%)'는 응답을 상회했다.

향후 3년 간 우리나라 금융시스템 안정성은 '높다(36%)'가 '낮다(11%)'는 응답을 크게 앞질렀다.

힌은은 2012년부터 국내·외 금융기관 종사자와 금융전문가 대상으로 연 2회 주요 리스크 요인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4월 16일부터 27일까지 12일 간 실시됐다. 63개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등 총 72명을 대상으로 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