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車 전문가들이 말하는 해법은?

지금까지 트럼프의 협박성 발언이 대부분 현실화됐다는 점에서 관세율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 자동차뿐만 아니라 부품과 연관 산업 등 자동차 산업 생태계가 큰 위협을 받게 될 것이라면서 친환경차와 프리미엄 자동차 공략이 지금으로써는 차선책으로 꼽힌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1일(현지시간) 자동차업체 대표와 간담회에서 수입차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과 배출가스 규제를 강화하겠다고 시사했다.

최영석 선문대 교수는 “현대·기아차는 미국 판매량 절반가량이 한국에서 생산되는데 미국 현지 공장을 늘리라는 압박이 계속되면 국내 생산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다”면서 “미 정부가 관세 인상뿐만 아니라 배출가스 규제카드까지 커낸 만큼 빠른 시장 대응력을 앞세워 전기차·수소전기차 등으로 친환경차 시장을 선점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공해차량 의무판매제(ZEV)를 지키지 못하면 부과되는 벌금의 반대 개념인 '크래딧'을 확보하면서 시장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ZEV는 미국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10개 주가 시행하는 환경규제로 대다수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미국정부에 막대한 규모의 벌금을 내고 있다.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사옥.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사옥.

또 수익성이 좋은 프리미엄차 시장 공략도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 자동차 시장이 벤츠·BMW 등 고급차 브랜드 위주로 확대 중이라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접근이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현대·기아차는 프리미엄 브랜드보다 대중적인 자동차로 공략하고 있는데 지금 관세율이 높아지면 경쟁력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면서 “최대한 관세인상을 회피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과 동시에 가격경쟁력 높은 프리미엄 차량 공략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웅철 국민대 교수는 “냉정하게 보면 강성노조에 시달리는 현대차 국내 생산 규모를 유지 또는 축소하면서 미국관세까지 피할 순 있겠지만 국내 일자리 창출, 관련 산업 생태계까지 보면 피해가 엄청 날 것”이라면서 “현지 생산라인을 고부가화하면서 친환경차에 무게를 더 두는 것도 차선책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박태준 자동차 전문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