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문 대통령 "적대관계 청산·한반도 비핵화, 큰 합의 도출 바래"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적대관계 청산과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큰 합의가 도출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북미정상회담]문 대통령 "적대관계 청산·한반도 비핵화, 큰 합의 도출 바래"

문 대통령은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새로운 한반도 시대를 염원하는 전 세계인의 바람이 실현될 수 있도록 두 지도자가 서로의 요구를 통 크게 주고받는 담대한 결단을 기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번 회담이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는 전망과 기대를 함께 가지고 있다”고 북미정상회담 성공을 거듭 기원했다. 문 대통령이 공식 자리에서 북미정상회담을 직접 언급한 것은 지난달 27일 이후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 담판' 자리에 앉기까지 노력을 높이 샀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실질적 행동으로 보였고, 김 위원장은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등 과감한 선제적 조치로 회담 성공을 위한 성의와 비핵화 의지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회담 성공을 절대적으로 기원하면서도 기대 수준은 낮췄다. 그는 “뿌리 깊은 적대관계와 북핵 문제가 정상 간 회담 한 번으로 일거에 해결될 수는 없다”며 “두 정상이 물꼬를 튼 후에도 완전한 해결에는 1년이 될지 2년이 될지, 시간이 더 걸릴지 알 수 없는 긴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남북미 간 진정성 있는 노력과 더불어 주변국의 지속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도 재차 강조했다.

남북관계 개선의 중요성도 다시 당부했다. 남북대화를 병행해야 북미 간 관계 개선에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문 대통령은 “남북관계가 좋아지면 북미관계가 함께 좋아지고, 북미관계가 좋아지면 남북관계를 더욱 발전시키는 선순환 관계를 만들어 가야 한다”며 “이를 위해 이번 주부터 시작되는 남북군사회담·적십자회담·체육회담 등 남북대화에 대해서도 국민께서 지속적인 지지와 성원을 보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 주간을 맞아 이날 회의와 다음날 국무회의를 제외한 공개 일정은 비워뒀다. 6·13 지방선거 관련해서도 지난 8일 오전 청와대 인근 삼청동주민센터를 찾아 사전투표했다. 북미정상회담 이후 후속회담 등 추이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이 북미 회담 당일에 대국민 메시지를 낼 가능성도 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문 대통령 명의 입장을 밝히지 않을까 싶다”면서도 “춘추관으로 직접 와서 할지, 서면으로 진행할지 정해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