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복지부·행정안전부·여성가족부는 '온종일 돌봄 생태계 구축 선도사업' 지원 지역으로 서울 구로구·노원구·성동구·성북구, 대전 서구, 경기 시흥시, 오산시, 충남 홍성군, 전남 광양시 등 9개 지역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선정된 지역들은 서민 주거지역이 밀집되어 있어 돌봄 수요가 높거나 돌봄 기관이 부족한 곳들이다.
다문화 학생 비율이 높고 서민 주거지역이 밀집된 구로구는 통합돌봄지원센터를 운영해 초등학생이 15분 내 도착할 수 있는 장소에 24시간 돌봄지원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대구 서구는 신도시 개발이나 공동화로 인한 쇠퇴지역, 농촌 지역 등 다양한 권역이 존재하는 곳이다. 아파트 관리사무소 유휴공간을 활용해 마을이 함께 아이들을 돌보는 지역 초등학생 돌봄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대전 서구는 3개소 시범 운영후 23개 행정동 전역으로 확산한다.
경기도 시흥시는 구도심과 신도심이 공존해 맞춤형 돌봄 공급이 필요한 지역으로, 시흥시는 평생교육도시 사업으로 양성한 지역 내 인력을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교육부는 지역 특성에 따라 유형별로 모델화한 돌봄 서비스를 모범사례로 발전시켜 향후 다른 지자체로 확산할 예정이다.
정부는 범정부 공동추진단을 꾸려 지난 4월 온종일 돌봄체계 실행계획을 마련했다. 이후 추진단 회의를 개최해 지자체 사업계획의 구체성과 모델화 가능성을 심사해 9개 지역을 선정했다.
추진단은 아동 중심의 질 높고 지속 가능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선정 지역에 컨설팅을 지원할 계획이다. 선정된 지자체는 전담조직을 갖추고 교육(지원)청과 협업을 통해 지역 내 초등학생의 돌봄 수요를 유형별로 촘촘하게 조사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부는 학교시설 활용에 따른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학교 내 돌봄시설 및 어린이집 설치 관련 시설·안전관리 가이드라인'을 보급한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806/1085701_20180627130946_390_0001.jpg)
김상곤 부총리는 “선도사업을 통해 도서관, 주민 센터 등 지역 공공시설이나 학교시설을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돌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면서 “지자체와 교육청 등 지역사회와 연계·협력을 통해 돌봄 서비스의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 개선도 도모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보경 정책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