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투자뉴스]현대건설_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3.34%로 적정수준

전자신문과 금융AI전문기업 씽크풀의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가 쓴 기사입니다



관련종목들 가운데서 변동폭은 높지만 수익률은 작아

29일 오후 1시55분 현재 전일대비 3.47% 오른 56,600원을 기록하고 있는 현대건설은 지난 1개월간 24.33% 하락했다. 동기간 동안에 주가움직임의 위험지표인 표준편차는 3.9%를 기록했다. 이는 건설업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현대건설의 월간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커짐과 함께 주가도 마이너스를 보이며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현대건설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6.2를 기록했는데, 변동성이 높고 주가는 약세를 기록하면서 위험대비 수익률은 가장 저조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건설업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인 -7.2보다는 높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는 좋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현대건설이 속해 있는 건설업업종은 코스피지수보다 변동성은 높고, 등락률은 낮은 모습이다. 하락할 때 지수보다 탄력을 받고 있다는 의미이다.
  표준편차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HDC현대산업개발 4.8% %
현대건설 3.9% -24.3% -6.2
GS건설 3.3% -4.9% -1.4
대우건설 2.9% -11.9% -4.0
대림산업 2.3% -10.3% -4.4
코스피 0.9% -5.3% -5.8
건설업 2.5% -18.0% -7.2

관련종목들도 일제히 상승, 건설업업종 +2.19%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도 일제히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업종은 2.19% 상승중이다.
대우건설
5,800원
▲80(+1.40%)
대림산업
77,000원
▲900(+1.18%)
HDC현대산업개발
53,800원
▲3700(+7.39%)
GS건설
45,600원
▲350(+0.77%)

증권사 목표주가 82,200원, 현재주가 대비 45% 추가 상승여력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현대건설의 평균 목표주가는 82,200원이다. 현재 주가는 56,600원으로 25,600원(45%)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별로 보면 KTB투자증권의 김선미 에널리스트가 " 이제부터는 펀더멘탈 회복이 중요, 경협 기대감이 주가에 빠르게 반영되었으나, 발주재원, 미흡한 SOC 등을 감안했을 때 사업 속도는 기대보다 더딜 전망. 향후에도 북미 실무진 협상 등의 news flow 이어지며 주가 변동성 크겠으나, 업종대비 과도한 valuation 프리미엄 부여는 경계…" (이)라며 투자의견 BUY에 목표주가: 76,000원을 제시했고, 삼성증권의 윤석모, 한주기 에널리스트가 " 하반기가 기대되는 여러가지 이유 , 현대건설 주가 5월말 이후 숨고르기 국면 - P/BV 1.1배 밸류에이션은 동사 ROE 대비 부담스런 수준은 아님: 4월 27일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경협에 대한 기대감으로 현대건설을 포함한 건설주가 급등세를 시현한 이후 5월말을 기점으로 숨고르기에 들어간 국면으로 판단된다. 이는 6월 12일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외정치 변수의 불확실성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에 목표주가: 82,000원을 제시했다.


외국인/개인 순매수, 기관은 순매도(한달누적)
기관이 3일연속 주식을 팔고 있는 반면 외국인은 5일연속 주식을 사고 있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매매관점을 매도에서 매수로 전환하면서 983,902주를 순매수했고, 개인들도 매기를 떨어뜨리면서도 1,690,175주를 순매수했다. 하지만 기관은 매도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2,674,077주를 순매도했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3.34%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현대건설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3.34%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7.07%를 나타내고 있다.

기관투자자의 거래참여 높아, 거래비중 21.59%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65.3%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기관이 21.59%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13.1%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59.95%로 가장 높았고, 기관이 25.9%로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은 14.14%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주가와 투자심리는 약세, 거래량은 침체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큰 특징을 보이고 있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침체국면에 머물러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약세흐름에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수렴하는 추세 변곡점에 도달하고 있다.

주요 매물구간인 43,100원선이 지지대로 작용.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 아래로 43,10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43,100원대는 전체 거래의 19.5%선으로 가격대에서 뚜렷하게 크게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거래규모가 큰 구간이 되고 향후 주가가 조정받을때 수급적인 강력한 지지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39,85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조정시에 지지매물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조정을 받고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1매물대인 43,100원대의 지지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아직은 제1매물가격대까지는 거리가 꽤 남아있고, 당분간 물량적인 부담이 없기 때문에 추가상승시에 큰 걸림돌은 없을듯 하고, 43,100원대의 지지대 역할은 좀더 기다릴 필요가 있다.


[포인트검색]
6월28일 :현대건설(주) 유동성공급계약의 체결
6월20일 :현대건설(주) 기업설명회(IR) 개최(안내공시)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