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험대비수익률 -7.5로 하위권, 업종지수보다 낮아 2일 오후 1시25분 현재 전일대비 2.2% 하락하면서 24,400원을 기록하고 있는 한올바이오파마는 지난 1개월간 22.04% 하락했다. 동기간 동안에 주가움직임의 위험지표인 표준편차는 2.9%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피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한올바이오파마의 월간 변동성이 상당히 커지면서 주가흐름도 주요종목군 내에서 가장 나쁜 모습을 보였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한올바이오파마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7.5를 기록했는데, 변동성 증가와 주가하락으로 위험대비 수익률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게다가 코스피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인 -6.1보다도 낮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없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한올바이오파마가 속해 있는 코스피업종은 의약품지수보다 변동성과 수익률이 모두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동업종의 탄력은 약한 반면 하락시에도 지수보다 낙폭이 작다는 의미이다. |
![]() |
표준편차 | 수익율 | 위험대비 수익율 | |
한올바이오파마 | 2.9% | -22.0% | -7.5 |
대웅제약 | 2.7% | -2.7% | -0.9 |
종근당 | 1.9% | -3.9% | -2.0 |
부광약품 | 1.9% | -20.9% | -11.0 |
영진약품 | 1.7% | -12.7% | -7.4 |
의약품 | 2.2% | 0.7% | 0.3 |
코스피 | 0.8% | -4.9% | -6.1 |
관련종목들도 하락 우위, 의약품업종 +0.14% |
영진약품 | 7,130원 ▼300(-4.04%) | 종근당 | 99,500원 ▼1000(-1.00%) |
대웅제약 | 200,500원 ▲4500(+2.30%) | 부광약품 | 23,050원 ▼500(-2.12%) |
[재무분석 특징] |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한올바이오파마는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과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 보이고 있다. |
한올바이오파마 | 대웅제약 | 영진약품 | 종근당 | 부광약품 | |
ROE | 2.0 | 6.1 | 2.4 | 13.5 | 3.9 |
PER | 624.1 | 58.7 | 486.7 | 19.0 | 145.0 |
PBR | 12.3 | 3.6 | 11.6 | 2.6 | 5.7 |
기준년월 | 2018년3월 | 2018년3월 | 2018년3월 | 2018년3월 | 2018년3월 |
외국인/기관 순매수, 개인은 순매도(한달누적) 전일 외국인이 15,328주를 사들인 반면 기관은 67,304주를 팔았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초반에 동종목을 순매수한 이후에 기세를 이어가며 305,291주를 순매수했고, 기관도 초반에 동종목을 순매수한 이후에 최근에는 순매수량이 줄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09,807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들은 매도쪽으로 방향을 잡으면서 415,098주를 순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
![]() |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83%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한올바이오파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83%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5.2%를 나타내고 있다. 외국인투자자의 거래참여 활발, 거래비중 19.22%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72.2%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외국인이 19.22%를 보였으며 기관은 8.56%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70.31%로 가장 높았고, 외국인이 18.07%로 그 뒤를 이었다. 기관은 11.61%를 나타냈다. |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
![]() |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
투심 보통 ,거래량 침체, 현재주가는 약세 |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큰 특징을 보이고 있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침체국면에 머물러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약세국면에 머물러 있다. |
주요 매물구간인 36,200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