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최현용 교수팀, 상온 동작 양자 정보 변환 소자 세계 최초 개발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최현용 교수 연구팀이 상온에서 동작하는 양자정보처리 플랫폼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연세대학교는 해당 연구 내용이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쳐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 IF=37.49)'에 23일(현지시간) 게재됐다고 밝혔다.

최현용 교수 연구팀은 밸리와 스핀 정보를 동시에 발생시키고, 각각의 자유도를 검출해 낼 수 있는 양자정보처리 플랫폼을 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새로운 반도체 물질인 2차원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에 있는 스핀, 밸리 자유도는 서로 강하게 얽혀있다는 사실만 입증됐고, 두 양자 자유도 간의 정보변환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또 자기장 인가가 반드시 필요해 특수한 외부 환경을 조성해야하기 때문에 실용적인 소자로 활용하기까지도 어려움이 있었다.

공동 저자인 차순영, 노민지 박사과정 학생은 이번 연구에서 이셀레늄화텅스텐(WSe2)과 위상절연체의 위 표면이 단층 그래핀을 매개로 연결된 이종접합 소자를 제작한 뒤 비국부적 광전류 실험을 통해 밸리-스핀 변환 확인에 성공했다.

이 연구는 밸리-스핀 변환을 확인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압을 조절함에 따라 스핀정보가 담긴 광전류의 크기 또한 바뀐다는 것을 입증하다는 점에 큰 의의를 갖는다고 연세대는 설명했다.

최현용 교수는 “빛과 전압을 이용해 밸리-스핀 정보가 쉽게 제어가 가능하여 기존의 양자 정보 처리기술에서 불가능했던 상온 동작 소자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면서 “추후 펨토초 초고속 실험을 통해 양자 정보 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이뤄졌다.

연세대 최현용 교수팀, 상온 동작 양자 정보 변환 소자 세계 최초 개발

문보경 정책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