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련종목들 가운데서 변동폭은 높지만 수익률은 작아 31일 오전 9시40분 현재 전일대비 1.49% 하락하면서 33,000원을 기록하고 있는 금화피에스시는 지난 1개월간 2.8% 하락했다. 동기간 동안에 주가움직임의 위험지표인 표준편차는 1.4%를 기록했다. 이는 건설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금화피에스시의 월간 변동성이 주요종목군 내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했지만, 주가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주가등락률 또한 가장 낮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된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금화피에스시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1.9를 기록했는데, 변동성은 가장 낮았지만 주가가 하락했기 때문에 위험대비 수익률은 가장 저조한 수준을 나타냈다. 게다가 건설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2.0보다도 낮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좋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금화피에스시가 속해 있는 건설업종은 코스닥지수보다 변동성과 수익률이 모두 높은 모습이다. 다시 말하면 동업종에 탄력이 붙으면서 지수대비 초과상승했다는 의미이다. |
![]() |
표준편차 | 수익율 | 위험대비 수익율 | |
이화공영 | 6.1% | 6.0% | 0.9 |
서희건설 | 4.9% | 32.8% | 6.7 |
KCC건설 | 3.0% | -0.7% | -0.2 |
서한 | 2.2% | 10.0% | 4.5 |
금화피에스시 | 1.4% | -2.8% | -1.9 |
코스닥 | 1.4% | -2.2% | -1.5 |
건설 | 1.9% | 3.8% | 2.0 |
관련종목들도 하락 우위, 건설업종 -0.77% |
서한 | 2,145원 ▼10(-0.46%) | 이화공영 | 7,560원 ▼100(-1.31%) |
서희건설 | 1,780원 ▲30(+1.71%) | KCC건설 | 8,640원 ▼130(-1.48%) |
[재무분석 특징] |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금화피에스시는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과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 보이고 있다. |
금화피에스시 | 서한 | 이화공영 | KCC건설 | 서희건설 | |
ROE | 11.0 | 26.9 | 3.9 | 6.5 | 11.5 |
PER | 10.0 | 2.7 | 94.2 | 8.3 | 8.1 |
PBR | 1.1 | 0.7 | 3.7 | 0.5 | 0.9 |
기준년월 | 2018년3월 | 2018년3월 | 2018년3월 | 2018년3월 | 2018년3월 |
기관/개인 순매수, 외국인은 순매도(한달누적) 7월18일부터 외국인들이 9거래일 연속 순매도 행진을 벌이고 있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기관이 초반에 동종목을 순매수한 이후에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227주를 순매수했고, 개인들도 순매수량을 늘리며 1,421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그 동안 외국인은 매도 우위를 지속하면서 1,648주를 순매도했다. |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
![]() |
회전율과 주가등락폭 모두 작아 최근 한달간 금화피에스시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01%로 집계됐다. 이처럼 회전율이 너무 낮은 경우 유동성이 떨어져 매매가 자유롭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시장에서 인기가 없기 때문에 주가 변동률도 낮은 특징을 보여준다. 주요 투자주체는 개인투자자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85.48%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외국인이 13.79%를 보였으며 기관은 0.71%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이 87.87%, 외국인이 12.12%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
![]() |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
주가와 투자심리는 침체권, 거래량은 약세 |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하락폭을 키우면서 침체상태에 빠져들고 있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적정한 수준에서 특별한 변화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계속된 하락으로 인해 불안한 심리가 팽배해지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적으로나마 반등이 나올 수 있지만 추세하락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
주요 매물구간인 37,550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
[포인트검색] |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