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금리인하 소급적용 힘들다"…금감원 금리인하 압박에 '유감표명'

금융감독원이 최근 저축은행별 고금리대출 잔액·비중, 수익성 지표 등을 발표하면서 사실상 금리인하 소급적용을 주문한 가운데 저축은행업계가 부적절하다는 의견을 표출했다. 현재 금융당국의 정책에 따라 금리수준을 내리고 중금리대출을 확산하는 등 노력을 하는 상황에 누적 대출금리를 거론해 고금리로 약탈을 자행한다는 프레임은 부적절하다는 판단이다.

다만 서민들의 금리부담을 낮추기 위해 금리인하 및 중금리대출 활성화에 주력할 것이라는 의견을 내비쳤다.

31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 30일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 운용실태'를 발표하면서 저축은행별 고금리대출 잔액·비중, 수익성 지표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의 누적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이 총 10조2000억원이고, 전체 가계신용대출 대출자 109만1000명의 78.1%(85만1000명)은 연 20%가 넘는 고금리를 부담하고 있다. 또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이 은행권 보다 매우 높고 특히 가계신용대출을 주력으로 취급하는 일부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 업계 평균보다 2배나 높았다.

하지만 이런 금감원의 주장에 저축은행업계는 적절치 못하는 판단이다. 누적 대출금액으로 단순히 저축은행의 고금리 비중이 높다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주장이다. 과거 금융당국이 러시앤캐시와 웰컴론 등 대부업체를 대상으로 저축은행에 편입하는 대신 5년 이내에 대부업 자산 40%를 축소하라고 지시했었다.

이에 OK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 등은 연 34.9%를 적용하던 대부업 대출자산을 연 29.9%로 내려 저축은행으로 이전했다. OK저축은행은 아프로서비스그룹이 예주·예나래저축은행을, 웰컴저축은행은 웰컴크레디트라인대부가 해솔·예신·서일저축은행을 각각 인수한 만든 곳이다. 이들은 누적 대출자산으로 비교하면 해당 이전대출이 포함돼 현 수준으로 볼 때 고금리 비중이 높게 나올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현재 금감원은 20%가 넘는 대출을 고금리로 규정하고 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일반대출 영향도 있지만, 과거 대부업 자산이 저축은행으로 넘어오면서 해당 대출금리가 고금리 비중에 해당돼 과도하게 보일 수 있다”며 “과거에도 저축은행으로 이전하면서 금리를 5.0%포인트(P) 내렸는데 고금리 비중을 내리기 위해서 금리를 또 내릴 수는 없다”고 말했다.

NIM 수준이 과도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업계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설명했다. 대손감안 후 NIM의 경우 리스크 비용만을 제외한 것으로 시중은행은 고객이 스스로 찾아가는 반면 저축은행은 여전히 모집인 의존도가 높아 추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또 시중은행과 규모 차이 담보나 신용 등 주력상품 취급에 따라 NIM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저축은행들은 이와 같은 금융당국의 '일탈적 고금리' 꼬리표에도 금리인하 소급적용 등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의 고금리 비중이 분기(3개월 마다) 공개하기로 하면서 장기간 업계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어쩔 수 없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단순 고금리비중을 내리기 위해 대부 이전대출에 한해 10.0%P 금리를 내리면 수백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는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900억원 수준인 것을 볼 때 일부 은행은 한해 수익을 고스란히 손실볼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선 20%대 이하의 중금리대출 확대하고, 일반대출의 금리를 낮추는 노력 등을 병행해 점차적 고금리 비중을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