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라믹기술원, 융복합 세라믹소재 정보DB 구축 추진

유광수 한국세라믹기술원장(가운데 왼쪽)과 보직자들이 센터 현판식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유광수 한국세라믹기술원장(가운데 왼쪽)과 보직자들이 센터 현판식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세라믹기술원(원장 유광수)은 6일 원내에 '융복합 세라믹소재 데이터센터'를 개소하고 융복합 세라믹을 포함해 기초 세라믹 물성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추진한다.

센터는 세라믹 소재 개발에 필요한 정보 DB를 구축하고, 이를 연구개발 및 산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한다. 융복합 세라믹을 핵심 소재로 사용하는 항공우주 복합소재, 정보통신기술(ICT)과 바이오, 에너지 분야 이차전지, 경량금속에 관한 기초 물성 DB 구축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고융점(2000℃ 이상) 융복합 세라믹 소재의 물성 정보를 체계화해 항공우주와 방산 분야 초내열 소재 개발도 지원한다.

세라믹은 금속, 화학, 보건 등 다른 여러 분야와 달리 그동안 공인된 참조표준 데이터가 없어 정보 공유와 신기술 개발에 애로가 많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센터를 국가 참조표준 데이터센터로 지정, 누구나 국가참조표준센터(www.srd.re.kr)에 접속해 관련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유광수 원장은 “참조표준 데이터는 모든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국가 인정 데이터다. 센터가 구축한 DB는 관련 기업 및 연구소의 중복실험 방지를 비롯해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 줄 것”이라 말했다.

한편, 한국세라믹기술원은 2000년 국가공인시험기관(KOLAS), 2009년 표준개발협력기관(COSD), 2010년 국제공인 제품인증기관(KAS), 2012년 표준물질생산기관(RMP)에 이어 이번 국가 참조표준 데이터센터 지정으로 시험·분석에 필요한 전 분야에서 공인인증 자격을 갖춘 기관이 됐다.

진주=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