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약품, 약사 복약지도 없는 오남용 부작용 우려 심각

식품의약품안전처, 일반의약품 부작용 보고 4만 건 달해

최근 5년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보고된 일반의약품의 부작용 보고가 4만 건에 달하며, 이중 1023건은 안전상비의약품인 것으로 조사되어 편의점의약품의 확대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편의점의약품은 국민들이 손쉽게 접하고 구입할 수 있는 약이기 때문에 해당의약품의 부작용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어야 하며, 전문의약품은 물론 일반의약품을 구매할 경우에도 약사의 복약지도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강화되고 있다.

2018년 8월 송파의 약준모 공공심야약국 7호점
2018년 8월 송파의 약준모 공공심야약국 7호점

약은 국민건강에 직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작용 보고에 대한 대안으로 약사들의 복약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공공심야약국의 법제화가 주목 받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서치앤리서치의 여론조사 결과, 심야 공공약국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8%가 ‘필요하다’고 답해 대다수 국민들도 공공심야약국의 법제화에 대해 공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야간/공휴일 공공약국 운영 제도화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92%가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심야 환자 발생 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74.4%가 ‘야간/휴일 이용 가능한 의원이 연계된 심야 공공약국 도입’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대다수 국민들이 공공심야약국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에 전국의 공공심야약국의 개수는 고작 33개에 그치고 있다.

아무런 지원도 받지 못한 채 주민들을 위해 심야시간까지 일하는 약국을 위해 약사들은 연 6000만원을 모금하여 심야약국이 영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후원하고는 있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보기 위한 숫자에는 턱없이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지난 2011년 유시민 전 국민참여당 대표는 일반의약품 편의점 판매 논란과 관련해 “240여개 시군구에 심야약국을 설치하자”고 해법을 제시한 바 있다.

공공심야약국이 제대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최소한 240여 개의 공공심야약국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4,000명의 약사들이 십시일반 모은 기부금으로 송파에 7번째 공공심야약국이 개설되어 화제를 낳기도 했다.

국민 안전과 건강을 위해 편의점약품 확대보다 심야공공약국 지원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는 가운데, 공공심야약국의 법제화 여부에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신지선 기자 (js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