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투자뉴스]POSCO_거래비중 기관 44.06%, 외국인 38.09%

전자신문과 금융AI전문기업 씽크풀의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가 쓴 기사입니다



위험대비수익률 0.3, 업종지수보다 낮아

28일 오전 11시25분 현재 전일대비 1.85% 오른 331,000원을 기록하고 있는 POSCO는 지난 1개월간 0.61% 상승했다. 동기간 동안에 주가움직임의 위험지표인 표준편차는 1.6%를 기록했다. 이는 철강금속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POSCO의 월간 주가수익률은 적정한 수준에 있었지만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POSCO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0.3을 기록했는데, 변동성은 낮은 편이었지만 주가상승률 또한 높지 않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위험대비 수익률은 중간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철강금속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1.3보다는 낮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는 긍정적으로 보기 어렵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POSCO가 속해 있는 철강금속업종은 코스피지수보다 변동성과 수익률이 모두 높은 모습이다. 다시 말하면 동업종에 탄력이 붙으면서 지수대비 초과상승했다는 의미이다.
  표준편차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풍산 2.9% -1.8% -0.6
고려아연 1.8% 6.2% 3.4
현대제철 1.8% 2.5% 1.4
POSCO 1.6% 0.6% 0.3
영풍 1.1% -2.7% -2.4
코스피 0.6% 0.5% 0.8
철강금속 1.3% 1.7% 1.3

관련종목들도 일제히 상승, 철강금속업종 +1.6%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도 일제히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철강금속업종은 1.6% 상승중이다.
영풍
723,000원
▲10000(+1.40%)
현대제철
52,600원
▲500(+0.96%)
풍산
34,600원
▲50(+0.14%)
고려아연
420,500원
▲9500(+2.31%)

증권사 목표주가 458,500원, 현재주가 대비 38% 추가 상승여력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POSCO의 평균 목표주가는 458,500원이다. 현재 주가는 331,000원으로 127,500원(38%)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별로 보면 하나금융투자의 박성봉, 유승훈 에널리스트가 " 하반기 중국 철강가격 상승 수혜 예상, 언론에 따르면 올해 난방철에는 허베이-베이징-텐진 권역내당산, 텐진, 한단, 스촤장, 싱타이, 안양의 6개 도시는 50%의철강 가동률 제한을 나머지 도시들은 30%로 제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허베이성 권역내 도시들의 일괄 50%가동률 제한에 비해 강도가 약한 듯 보이나 올해의 경우 지난해 감산기간(4개월: 11월 15일 ~ 3월 15일)보다 확대된 6개월간(10월초 ~ 3월말) 감산이 시행될 예정으로 허베이성 권역의 철강 감산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라며 투자의견 BUY에 목표주가: 440,000원을 제시했고, 이베스트투자증권의 정하늘 에널리스트가 " 오늘도 “어결포”, 어차피 결론은 포스코 , 지난 7월 중국의 1.35조 위안(한화 223조 원)의 지방정부 특별채권 발행 재정정책은인프라 투자 증가율 확대로 반영되었다. 이는 부동산의 후발주자로 힘 잃은 PPP에 힘을 실어주는 등 중국의 철강재 가격 강세를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동시에 동절기 감산과 환경보호 정책을 고려할 때, 3/4분기 이후 동절기 감산 전까지 철강재 가격은 강세 유지를 전망한다…" (이)라며 투자의견 Buy (maintain)에 목표주가: 480,000원을 제시했다.

8월1일에 POSCO 2/4분기(2018년4월~6월)실적 발표됨
<발표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2/4분기 16조0833.0억 1조2523.0억 6,366.0억
직전분기 대비 1.4% 증가 15.8% 감소 41.2% 감소
전년동기 대비 7.6% 증가 27.9% 증가 20.1% 증가

[재무분석 특징]
영업이익률 현재 7.72%로 업종평균 상회. PER은 9.03으로 업종평균보다 낮으며, PBR은 0.58로 다소 낮은편.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POSCO는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과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이 모두 상대적으로 적정한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POSCO 현대제철 고려아연 풍산 영풍
ROE 6.5 3.3 9.9 9.7 7.4
PER 9.0 12.5 12.2 6.9 5.0
PBR 0.6 0.4 1.2 0.7 0.4
기준년월 2018년6월 2018년6월 2018년6월 2018년6월 2018년6월

기관/개인 순매수, 외국인은 순매도(한달누적)
기관이 6일연속 순매수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외국인은 14일연속 순매도를 보이고 있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기관이 방향성있는 매매를 하면서 377,825주를 순매수했고, 개인들도 순매수량을 늘리며 78,793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그 동안 외국인은 매도 우위를 지속하면서 456,618주를 순매도했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2%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POSCO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2%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2.64%를 나타내고 있다.

거래비중 기관 44.06%, 외국인 38.09%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기관이 44.06%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외국인이 38.09%를 보였으며 개인은 17.84%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기관 비중이 47.09%로 가장 높았고, 외국인이 35.47%로 그 뒤를 이었다. 개인은 17.42%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주가, 거래량, 투심 모두 적정주순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적정한 수준에서 특별한 변화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을 이루는 약세국면에서 단기적으로 반등이 나오고 있다.

현재주가 근처인 324,500원대에 주요매물대가 존재.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대 근방에 324,50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324,500원대는 전체 거래의 22.5%선으로 매매가 이가격대에서 비교적 크게 발생한 구간이라서 지금부터 주가가 어느 한방향으로 방향을 잡으면 강한 추세적 지지 또는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317,00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조정시에 지지매물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상승을 전개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1매물대인 324,500원대의 지지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제1매물가격대에 주가가 지금 가깝게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324,500원대의 지지여부를 우선해서 세밀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포인트검색]
8월22일 :(주)포스코 회사합병 결정
8월22일 :(주)포스코 주식명의개서정지(주주명부폐쇄)
8월22일 :(주)포스코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 운영현황(안내공시)
8월20일 :(주)포스코 자기주식 처분 결정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