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수유시설, 환경 관리는 '적정'·이용은 '미흡'

전국 수유시설 10곳 중 9곳은 조명, 오염 등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했다. 그러나 시설 80% 이상이 하루 이용자 10명도 안된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보건소 수요시설 설치와 운영 실태를 조사, 17일 발표했다. 실태조사는 수유환경을 개선하고 수유와 육아 활동 편의 증진이 목적이다. 현재 설치·운영 중인 전국 3259개소 대상 수유 실내 비품 비치와 청결상태, 환경 상태, 이용현황 등을 조사했다.

전국 17개 시·도 수유시설은 공중시설이 1034개소(31.7%)로 가장 많았다. 공공기관은 782개소(24%), 공공청사 759개소(23.3%), 교통시설 500개소(15.3%), 학교 시설 84개소(2.6%), 민간기업 100개소(3.1%)로 조사됐다. 수유시설 3048개소(93.5%)가 내·외부인 모두 사용 가능했다. 1일 사용자가 10명 이하인 곳인 2682개소(82.3%)로, 대체로 이용실적이 낮았다.

시설 관리주기는 2826개소(86.7%)가 1일 1회 이상이다. 7일에 한번 또는 비정기적으로 이뤄지는 곳은 240개소(7.4%)로 나타났다. 아빠도 이용 가능한 시설이 2057개소(63.1%)로 나타났고, 나머지 1202개소는 아빠가 수유시설에 출입하지 못하도록 문구가 설치됐다.

수유실 비품으로는 3137개소(96.2%)가 쇼파, 테이블을 비치했다. 기저기 교환대는 2363개소(72.5%), 냉난방기·정수기는 2504개소(76.8%)가 완비됐다.

수유시설 실내환경 중 조명은 2980개소(91.4%)가 적정하게 관리됐다. 16개소(0.5%)는 미흡했다. 실내온도와 환기상태는 2875개(88.2%)가 적정, 38개소(1.2%)는 미흡 조치를 받았다. 수유실내 바닥 등 오염 관리는 2931개소(89.9%)가 적정, 27개소(0.8%)는 미흡하게 관리했다.

수유시설검색 시스템(www.sooyusil.com)
수유시설검색 시스템(www.sooyusil.com)

복지부는 수유시설 현황, 실태조사를 계기로 관리·운영 실태를 정례적으로 보고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수유시설 관리기준 권고안을 지키도록 지도를 강화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달 수유시설검색 시스템을 개설했다. 수유시설 위치정보를 등록해 이용자가 수유시설을 쉽게 이용하도록 했다.

손문금 복지부 출산정책과장은 “실태조사는 처음으로 전국에 설치된 수유시설 현황을 살펴보았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이번 조사로 파악된 수유시설 정보를 토대로 수유시설검색 시스템을 구축하는 성과가 있었다”면서 “향후 수유시설 관리·운영실태의 정례적 보고관리 체계를 구축해 현장에서 수유시설 관리기준 권고안이 정착되고, 수유 및 육아활동의 편의증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