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주년 창간기획]독일, 인더스트리 4.0으로 실업률 '뚝'...제조업 '날개' 달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유럽의 병자'. 2000년대 중반까지 독일을 지칭하던 말이다. 당시 독일은 치솟아오르는 실업률에 신음했다. 유로스탯(Eurostat)에 따르면 독일 실업률은 2005년 4월 11.2%로 정점에 돌입했다. 통일 직후 1991년 2월 5.3%와 비교하면 두 배 넘게 뛰었다. 이후 독일은 2009년 7월 실업률 7.9%를 기록한 후 올해 2분기 3.4%까지 지속 줄어든다. 제조업 중심 경기 부흥에 힘입어 실업률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내려 앉았다.

독일 경기 부흥에 힙입어 인더스트리 4.0 정책이 재조명 받는다. 적극적 정책 지원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제조기업 체질을 바꿨다. 초반 시행착오를 재빠르게 고치고 적극 대응한 점이 주효했다.

인더스트리 4.0은 독일 정부가 제시한 제조업 혁신 정책이다. 전통 제조업에 정보기술(IT)을 결합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골자다. 사물인터넷(IoT) 근간으로 생산기기와 생산품 간 상호 소통 체계를 구축한다.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 핵심으로 주목받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 솔루션 선도국으로 자리잡겠다는 목표다.

포스코경영연구원(POSCO)에 따르면 독일 인더스트리 4.0은 2011년 독일공학협회(VDI)에서 처음 언급했다. 당시 명칭만 언급한 것으로 구체적 정책과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인더스트리 4.0은 2012년 구체적 정책으로 나타났다.

독일인공지능연구소(DFKI) 등에서 CPS 기반 새 미래 제조업 패러다임으로 제시했다. 독일 정부도 2012년 국가 첨단기술전략 10개 핵심 실행계획에 인더스트리 4.0을 포함하며 과감한 정책 지원을 약속했다. 한 해 2억유로 규모 예산을 쏟아부으며 전방위로 인더스트리 4.0을 지원했다.

독일정보통신산업협회(BITKOM)·독일엔지니어링협회(VDMA)·독일전기전자산업협회(ZVEI)가 등 참여하면서 정책 폭을 키웠다. 독일 정보통신산업과 기계산업, 전자산업을 대표하는 집단이다. 보쉬, 지멘스 등 대기업과 함께 다수 중소기업이 참여하면서 정책 폭이 넓어졌다.

독일 정부는 여기에 만족하지 않았다. 2015년 4월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으로 정책을 개편했다. 독일 정부는 인더스트리 4.0 확산이 더디다고 지적하며 △완벽한 표준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추진력 약화 △보안에 대한 우려 △중소기업 참여 부진 △기업 관련 인력 부족을 원인으로 꼽았다. 그간 협회 연구 중심으로 운영되던 정책을 정부가 나서서 조율하는 역할을 맡았다. 민관 합동 중심 추진 방식으로 제조업 혁신에 속도가 붙었다.

결과 독일 제조기업에 인더스트리 4.0 확산 속도가 빨라졌다. 산업연구원(KIET)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독일에서 인더스트리 4.0을 추진하는 기업은 총 333곳이다. 2016년 12월 167곳이 참여했던 것과 비교하면 두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중소기업이 적극 인더스트리 4.0을 도입하면서 디지털 제조 생태계 기반을 갖췄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