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달라진 전방위 안보위협에 대비해 지능형 스마트 비행단 구축 등 미래첨단 항공우주력을 강화한다.
전진곤 공군본부 연구분석평가단장(준장)은 19일 공군발전협회 주최로 서울 신길동 공군회관에서 열린 학술회의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기존 북한 위협 중심에서 잠재적, 불특정 위협을 포함한 전방위 위협으로 확대되고 있어 항공우주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항공우주력은 강력한 억제력으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보장하는 전력이다. 4차 산업혁명 기반 스마트 공군으로 발전과 연합방위와 핵심군사능력은 물론 전작권 전환에 대비하기 위한 준비다. 공군은 고고도 무인정찰기와 중고도 무인정찰기, 공중급유기 등을 도입한다. F-35A나 KF-X 등 전투기 도입과 훈련으로 전략적 억제와 작전 주도 능력도 기를 계획이다.
전 단장은 “유·무인 전투기, 초소형 전술위성체계 등 첨단 항공우주력은 미래 공군이 갖춰야 할 필수 전력”이라면서 “네트워크 구조 최적화,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비행단은 구축 중이고, 나머지 부분도 중장기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변화하는 미래 전장 패러다임에 대비 항공우주력 강화가 요구된다. 유인전투기와 무인전투기를 복합운용함으로써 대공위협을 무력화한다. 무인기 선도공격과 유인기 통제 원칙을 수립해 공대공 전략을 구비한다. 초소형 위성을 발사 운용해 다양한 위협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AI 영상분석체계를 구축해 정보력도 강화한다.
공군은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을 항공우주력에 활용, 전작권 환수를 대비한다. 윤현주 국방부 정책기획관은 “국군의 부족한 능력을 미군 능력으로 보완하는 게 전작권 전환 추진 기본방침”이라면서 “북핵 등 군사 위협에 대응능력을 확보하는 게 전제조건”이라고 설명했다. 국군 무기·전력체계 스마트화가 전작권 전환 전제조건인 셈이다.
문재인 정부는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의 조속한 추진을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 국방개혁과 함께 추진했다. 전환 조건은 국군이 한미 연합방위를 주도하는 핵심군사능력과 군사 위협 초기 필수 대응능력 확보 등이다.
이왕근 공군참모총장(대장)은 “항공우주력은 전쟁을 억제하거나 억제가 실패했을 때 최단 시간 내 최소 희생으로 승리하기 위한 전력”이라면서 “한국형 미사일 방어능력 구축, 신속한 원거리 작전 수행 능력 보강은 물론 미군 의존도가 높은 우주기반 감시정찰, 전략타격, 전자전, 무인기 등 전략자산에 대한 자체 능력 보유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한호 공군발전협회장은 “남북관계 개선으로 한반도·동북아 정세가 급변하고 있지만 국방태세는 낙관적 정세에 맞추는 게 아닌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야 한다”면서 “앞으로도 우리 군은 취약점을 지속 보완, 발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