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은퇴연구소, 고령사회 자산관리 시사점 진단

미래에셋은퇴연구소, 고령사회 자산관리 시사점 진단

[전자신문인터넷 이상원기자]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4일 은퇴리포트 37호 ‘국제비교를 통해 본 우리나라 가계 자산 특징 및 시사점’을 발간하고 고령화에 따른 자산관리 시사점을 진단했다고 밝혔다.

이 리포트에 따르면 한국 사회는 지난해 만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 이상인 고령사회에 진입해 광범위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겪고 있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고령화가 가계의 자산운용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우리보다 앞서 고령사회에 진입한 미국, 영국, 호주, 네덜란드 4개국과 한국 가계를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각국 가계 자산구성과 우리나라를 비교한 결과 크게 3가지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우리나라 가계는 금융자산과 실물자산 모두 부동산 관련 비중이 높다. 금융자산 중 거주주택 전세보증금이 1/4 이상을 차지하며, 실물자산에서는 거주주택 외 부동산 비중이 선진 4개국 평균인 4.0%의 3.4배 수준에 달했다.

또 우리나라 가계는 금융자산 운용 시 보수적인 성향을 보이며, 주식형 자산 투자에도 소극적인 편이다. 가계 금융자산 중 예금과 저축성 보험이 70% 이상을 차지하며 다른 나라에 비해 주식과 펀드 비중이 크게 낮다. 전체 자산 중 주식과 펀드를 합한 평균 비중은 미국의 0.5배, 호주의 0.4배 수준에 불과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는 퇴직연금과 같은 은퇴자산 축적이 부족하고, 은퇴자산 구성과 운용 방식에 있어서도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은퇴자산 구성을 보면 비교대상 4개국과 달리 퇴직연금보다 생명보험과 개인연금 비중이 높고, 운용 스타일에 있어서도 안정지향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구소는 이번 조사에서 국가 전체의 가계 자산을 합산해 총량 기준으로 자산구성 비중을 산출하지 않고, 각 가계의 자산 비중을 먼저 구한 다음 그 비중의 평균을 구하는 방식을 활용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일부 가계의 자산 규모가 전체 평균을 왜곡하지 않고, 가계의 실제 자산 구성에 가까운 평균값을 산출해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심현정 선임연구원은 “현재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구성은 부동산에 편중되고 안정 성향으로 성장 잠재력이 낮은 상황에서 은퇴자산이 부족해 향후 장수리스크를 극복하기 힘들 수 있다”며 “저성장·고령화에 대응해 평안한 노후를 준비하려면 부동산 중심의 자산 구성을 재조정하고 금융상품을 통해 은퇴자산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원기자 slle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