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4일 산업계, 경제연구소 관계자들을 만나 “금융 불균형이 누증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이 총재는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개최된 경제동향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금융 불균형을 점진적으로 해소하는 등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융 불균형은 저금리 부작용을 의미한다. 낮은 금리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 부동산 시장으로의 자금 편중 등을 포함한다. 저금리 부작용을 언급했다는 점에서 금리 인상 필요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지난달 미국 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 인상 결정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금융정책에 관해서는 거시경제 상황, 금융 불균형 축적 가능성 등을 감안해볼 때 완화 정도를 늦춰나가는 게 필요하다는 걸 밝혔고, 그런 입장은 변화가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지난 10년간 소득증가율을 상회하는 가계부채 증가세를 금융 불균형 누증 원인으로 들었다. 이어 주력 산업 경쟁력 약화, 저출산 및 고령화 심화로 성장 잠재력이 저하됐다고도 지적했다
최근 경제 상황을 두고는 “수출을 중심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기업투자는 미흡한 상황”이라며 “일부 업종을 제외하면 미래를 위한 투자에 소홀한 측면도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투자 개선을 위해 합리적인 규제 완화 등 투자 심리를 높여 성장 기반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금융 불균형을 점진적으로 해소하는 등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한편 성장 잠재력과 일자리 창출 능력을 높이기 위한 구조개혁을 지속해 나가는 등 향후 10년을 바라보는 정책적 노력이 중요한 때”라고 말했다.
세계 경제에 대해서는 “올해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지 만 10년째에 새로운 과제들에 직면해 있다”며 반세계화 정서에서 파생된 글로벌 통상 갈등 확대,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로 주요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그러면서도 “대외지급능력과 금융 기관 건전성이 개선되면서 우리 경제 대외충격 흡수력은 크게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종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상임이사, 이동근 현대경제연구원장, 염용섭 SK경영경제연구소장, 배현기 KEB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 등이 참석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