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시장이 기업규모, 지역, 종류 등에 따라 매출 편중 현상이 심각해 기형적 성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열린 관세청 국정감사에서 최근 4년간(2014~2017년) 면세점 시장 총 매출액은 14조4682억원으로 74% 이상의 폭발적 성장을 하고 있지만 대기업 편중 현상 등이 심해 상생구조의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해당 기간 대기업 면세점은 매출액이 5조원 이상 증가해 시장점유율도 2014년 88.3%에서 89.7%로 증가했다.
특히 롯데·신라·신세계 등 3개 면세점은 전체 시장 매출의 84%나 차지했다.
종류별로는 시내면세점의 지난해 매출액이 11조1167억원으로 2014년 대비 106.3% 증가하는 등 유일하게 100% 이상 성장을 보였다.
반면 지정, 출국장 면세점은 시내면세점 매출 증가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고, 외교관 면세점은 오히려 14% 이상 줄었다.
지역별 매출액 편중 현상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면세점이 몰려있는 서울·인천·제주 매출액 점유율은 94%에 달하는 반면 강원·경남이 90% 넘게 매출이 줄었고, 충북도 반토막 수준이다.
또 면세점 매출 중 국산품 판매는 4조4218억원(30.6%)으로, 외제품 10조464억원(69.4%)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조 의원은 “면세점 시장 성장을 통한 경제 활성화는 정부의 중요 경제 정책 중 하나이다”면서 “규모의 성장과 더불어 다양한 기업과 지역이 과실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건전하고 상생 가능한 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전=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
-
양승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