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의 근간이 되는 '의료정보 빅데이터'는 신약 개발 성공률을 높입니다. 개인 정보보호까지 하려면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됩니다.”
건잔바르 이노플렉서스 최고경영자(CEO)는 1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AI 파마 코리아 컨퍼런스 2018'에서 “차세대 신약개발 성공을 위한 열쇠는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이라면서 이 같이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신약개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이 화두다. 신약 개발은 10여년 이상의 장시간 규모, 고비용 투자에도 성공확률이 낮다. 신약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시장에서 성공하는 확률도 떨어진다. 고위험, 불확실성으로 대표되는 신약개발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효율화가 높아진다.
AI 활용은 신약개발에서 필수다. 마이클 야누스직 누메디 박사는 “신약 개발에 평균 10년, 50억 달러가 소요되는데 AI를 이용하면 빠르게 약물을 개발한다”면서 “인공지능 등 신기술을 이용하면 10분의 1 정도로 개발 비용이나 기간을 단축해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인공지능 신약개발을 위해 의료정보 빅데이터가 핵심이다. 한국 정부 차원에서 개인 의료정보 등을 가명 처리해 기업이 활용하도록 하는 개인정보보호법을 추진하는 시도가 있지만 아직까지 소극적이다. 민간 기업 빅데이터는 비공개다. 개인 의료정보 거래는 불법이다. 익명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은 개인정보보호법 등으로 원천 차단됐다. 일부 시민단체 등은 개인정보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중국은 이와 달리 빅데이터 개방에 적극 나선다. 건잔바르 최고경영자는 “중국도 정부차원 빅데이터 공개를 통해 신약개발 가속화 속도를 낸다”면서 “블록체인을 활용해 개인 정보보호를 강화하면서도, 기업 차원에서 신약개발 가속도가 붙을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한다. 정부 지원에 힘입어 차후 막대한 데이터를 활용, 엄청난 결과물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럽 등 세계에서도 개인정보보호규정(GDPR)에서 '가명화' 개념을 정의하는 등 변화 움직임이 있다. 블록체인은 개인 정보보호 핵심기술이다.
양현진 신테카바이오 박사는 “정부 차원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 과제를 꾸준히 시도한다”면서 “이런 teh와 제도개혁이 이뤄지면 신약개발 가속도를 높이는 자양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콘퍼런스는 세계적으로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연구가 확산한 데 따라 국내외 AI 개발사들의 기술 및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자 마련된 자리다. 공동 주최자인 제약바이오협회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콘퍼런스를 시작으로 현장에서의 AI 활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장윤형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wh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