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년 7월 보행자 스마트폰에 교통신호를 지키지 않고 주행하는 차량에 경고가 울린다. 운전자도 사각지대 보행자 정보를 받아 사전에 사고를 예방한다.
국토교통부는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를 활용한 보행자 안전서비스 개발에 착수한다고 18일 밝혔다.
관련 서비스와 장비를 내년 6월 경 개발하고 성능검증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르면 내년 7월부터 대전-세종 도로구간(87.8㎞)에서 시범운영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C-ITS 시범사업을 통해 추진한다. 19일부터 보행자 안전서비스 개발을 위한 사업자 선정을 시작한다.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는 양방향 통신을 통해 교통사고 예방, 자율협력주행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정부는 차량과 차량간(V2V), 차량과 인프라간(V2I) 소통 기술을 개발해 왔으며, 이번에 범위를 차량과 보행자(V2P)로 넓혔다.
이 서비스가 개발되면 보행자는 버스정류장이나 신호등사거리 등 교통이 복잡한 곳에서 인근에서 접근하는 차량 정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교통신호를 지키지 않고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경고를 보행자에게 울려줘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운전자도 무단횡단 등 보행자 정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고속도로·국도 등에서도 수시로 도로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고를 예방한다.
기존에 별도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던 C-ITS 서비스를 보다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스마트폰·C-ITS단말기 간 휴대폰케이스, 거치대 등을 통해 연결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그간의 C-ITS는 차량-차량, 차량-도로인프라 간 실시간 상황을 공유하여 교통안전, 자율협력주행 등을 지원하는 차량운행 중심의 시스템이었으나, 이번 계기를 통해 서비스 범위와 지원 대상이 휴대폰을 소지한 보행자까지 대폭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C-ITS 보행자 안전 주요 대상 서비스](https://img.etnews.com/photonews/1810/1119727_20181018152340_558_0001.jpg)
문보경 정책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