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체계 마련보다 위험요인 경고 등 사전 대비 중심의 공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22일(현지시간) 캐나다 오타와에서 열린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에 참석해 “국경과 지역을 넘나드는 가상통화는 규제차익을 방지하기 위한 국제공조가 중요하다”며 이처럼 말했다.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 "암호화폐 규제보다 사전 대비가 우선"](https://img.etnews.com/photonews/1810/1121068_20181023135227_014_0001.jpg)
FSB는 G20 합의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한 금융규제 개혁을 추진하는 조직이다. 국제기준 및 정책 권고안 개발 등을 수행한다. 이번 FSB 총회에서는 글로벌 금융시스템 취약성 평가, 규제개혁 이행 및 효과 평가 등이 주요 의제로 논의됐다. 또 FSB는 이번 총회에서 '그림자 금융'을 대체하는 용어로 '비은행금융중개'를 채택했다.
특히 핀테크와 암호화폐, 사이버보안, 비은행중개기능 등이 글로벌 금융안정성에 위협을 주는 새로운 취약요인으로 떠올랐다. 김 부위원장은 “핀테크와 4차 산업혁명은 전통 금융업의 탈중개화, 탈집중화를 가속화하고 있어 앞으로 이런 현상이 심화하면 현재 금융기관 중심 업권별 규율은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규제 체계의 미세조정이 아닌 규제체계 전반의 재설계 등 정책대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금리 상승, 높은 부채수준 등 위험 요인이 글로벌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중기적으로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 자본유출 △브렉시트(Brexit) 등 정치적 리스크 △무역긴장 고조 등이 주요 하방리스크로 지목됐다. FSB는 내년부터 금융회사 정리제도 도입 등 대마불사 정책 이행, 비은행 금융중개기관의 복원력 제고 등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김 부위원장은 “비은행금융중개는 채무자와 만기 등 계약내용이 불명확하고 은행 지급보증 등으로 연계되어 있어 외부충경에 예상치 못한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며 “FSB 차원에서도 비은행권 거시건전성 관리방안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