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직원건강관리체계 평가 '낙제점'…"건강관리는 투자"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국민 60%가 기업이 직원 건강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서울의대·환경재단·한국소비자연맹·한국건강학회는 여론조사기관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기업 직원건강관리체계'에 관한 주제로 일반국민 1200명을 면접 설문조사했다.

조사에 따르면 기업 직원건강관리체계 평가점수가 '10점 만점에 6.2점'에 불과했다. 가장 부족한 부분은 과도한 업무 방지와 건강검진 측면으로 나타났다.

국민 대다수는 건강관리 평가 필요성에 공감(94.8%), 방식은 '건강 관련 평가지수 공개 의무화(36.4%)', '제품·서비스에 평가인증 마크 부착(27.3%)' 요구가 많았다. 이어 '건강 기여 활동 관련 보조금 지원(19.5%)' '우수기업에 건강보험료 일부 감면(16.8%)' 순으로 선호했다. 건강친화 환경촉진을 위한 법률제정에 대해 국민 대다수(93.7%)가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이번 조사에서 15개 권역별(제주 제외) 기업 직원건강관리 수준이 불균형이 심했다. 중앙정부만이 아니라 주민 건강을 위해 지자체도 기업 건강관리에 대해 자체적인 평가·지원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하버드 보건경제 연구팀에 따르면 기업 건강관리 투자는 1달러당 의료비용 3.27달러와 결근 2.73달러 절감효과로 나타난다. 윤영호 교수는 “직원 건강관리는 비용이 아닌 투자”라면서 “대부분의 기업이 경쟁력 원천인 직원을 위해 일회성 건강검진이나 일부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수준에 머문다”고 말했다. 이어 “직장인 건강상태가 개선되면 건강 악화로 인한 직접 비용 외에도 결근율 감소 등 간접비용을 줄여 생산성이 오르고, 직원과 고객도 만족한다”라고 덧붙였다.

미국은 2008년, 일본은 2016년부터 정부나 기업이 작업장 건강지수를 활용해 기업 건강관리체계를 평가해 취약점을 파악한다. 윤 교수는 “전략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우선순위에 건강투자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직원의 건강관리 평가 필요성에 대해 대다수 국민(94.8%)은 찬성하고 있듯이 '우수기업에 건강보험료 감면' 등을 적극 검토하고 법제화를 통해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윤형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wh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