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0·50대 중년 세대가 창업한 비중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이 5일 공개한 '2018년 국세통계 2차 조기공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창업한 사업자 가운데 40대와 50대 비중이 54.8%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40대가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50대 23.4%, 30대 23.4% 순으로 나타났다. 중년 세대 창업 비중은 60대까지 포함하면 66.4%에 달했다. 지난해 창업자 10명 가운데 7명이 40세 이상이었음을 말해 준다. 창업자 증가율 면에서도 50대와 60세 이상이 가장 높았다.
반면에 청년 창업은 여전히 게걸음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30세 미만 창업자 비중은 10.1%로 2013년 9.2%보다 0.9%포인트(P) 증가했다. 정부가 청년 창업을 강조했지만 5년 전에 비해 채 1%P도 늘지 않았다. 사실상 뒷걸음쳤다고 봐야 한다. 청년 창업과 중장년 창업을 굳이 비교하는 배경은 경제 성장과 고용 기여도 같은 정량 측면 때문이 아니다. 창업에 나이가 문제될 리 없다. 열정과 이를 뒷받침할 자본만 있다면 권장하고 싶은 게 창업이다.
그러나 창업 연령대가 높으면 이야기가 다르다. 십중팔구 '생계형 창업' 가능성이 짙다. 직장 생활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그만두고 생활고를 위해 떠밀려서 창업의 길로 들어섰을 것이다. 가뜩이나 세 집 걸려 한 집이 통닭집이라는 비아냥대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국내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세상이다. 지난해 기준 자영업자는 655만명을 넘어섰다. 5인 이하 영세 점포가 대부분이다.
청년 창업은 이점이 많다. 청년 창업이 활성화되면 경제 구조를 역동적으로 바꿀 수 있다. 혹시 실패해서 다시 직장인으로 돌아가든 재창업에 나서든 창업자에게는 소중한 경험이다. 구글· 페이스북 창업자를 고려할 때 시장에서 대박이 날 가능성도 바라볼 수 있다. 모두 가능성 있는 미래 투자인 셈이다. 청년 창업 정책을 다시 들여다봐야 한다. 중장년 중심 창업 흐름은 분명히 문제가 있어 보인다. 청년이 창업 무대에서 더 뛰놀 수 있는 환경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