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R&D)서비스 전문 인력이 많이 부족합니다. 이마저도 대부분 공공기관에 몰려 있어 인력 확보 차원에서 민·관 불균형이 심각합니다.” “정부 지원 대형 연구 과제 기획·수행·시험 평가를 대부분 공공기관이 주도하고 있어 기업이 공공기관에 종속, R&D 과정은 물론 연구 산업 전반이 경직돼 있습니다.”
최근 열린 '연구산업 혁신주체 협업 활성화 간담회'에 참가한 전문가들이 이구동성으로 내놓은 진단이다. 인력 양성은 대학에서 해야 하는데 대학 간 경쟁이 심하다 보니 수치에만 매몰되는 경우도 많다는 의견도 나왔다.
'연구 산업'은 R&D를 전후좌우에서 지원하는 연구 기획, 연구 장비, 기술 사업화 등을 포괄한 R&D서비스 산업이다. 국가 R&D 체계를 혁신하고, R&D 혁신으로 산업 전반을 고도화 및 고부가가치화하려는 문재인 정부의 혁신 성장 정책 핵심이기도 하다.
기업은 R&D 기획 및 컨설팅 전문 인력 부족을 호소했고, 학계는 대학 간 협력으로 필요한 인력을 제때 제대로 양성할 수 있는 사업을 원했다. 연구계는 공공기관이 기획하고 수행하는 R&D 경직성을 지적하고, 기업 주도 및 기업 참여 확대를 건의했다.
결론은 수요자 중심의 연구 산업 육성과 자율성 확대로 모아졌다. 기존 하향식 정책 집행과 공공기관 중심의 R&D 기획 및 수행으로는 연구 산업 전문 기업을 발굴·육성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연구 산업 활성화는 R&D서비스를 전문으로 제공하는 연구 산업 전문 기업 육성에 달렸다. 정부 지원 R&D 전 과정에 민간 전문 기업의 참여를 확대해야 현장이 원하는 R&D를 도출하고, 사업화 비율은 물론 투명성도 높일 수 있다.
정부는 지난해 말 R&D 생태계 전체를 산업군으로 정의하고, 국가 R&D 혁신 통합 정책으로 '연구산업 혁신성장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이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지원 방향과 세부 사업이 나오길 기대한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
임동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