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으로 쇠고기 이력 확인한다

블록체인으로 쇠고기 이력 확인한다

축산물 위생 문제로 회수할 경우 지금까지는 거래명세서로 납품업체·단체급식소·식육 판매장 등과 일일이 통화하거나 현장 방문을 통해 확인해야 했다.

앞으로 축산물 이력관리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 위생·안전문제 발생 시 빠르게 이력을 추적 대처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IoT)을 접목한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을 12월까지 전북지역에 시범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범 서비스는 내년 1월부터 전북지역 축산농가와 도축장 등에서 실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본 사업은 과기부와 농식품부가 올해초부터 함게 진행해 온 것으로, 6월 발표한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의 핵심 추진과제 '6대 공공시범사업' 중 하나다. 현행 축산물 이력제 업무의 신뢰성과 신속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축산물 이력제는 소의 사육단계부터, 도축, 식육포장, 판매단계까지 정보를 기록·관리해 위생·안전 등 문제 발생시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제도로 2008년부터 시행됐다. 현행 이력제는 단계별 이력 정보를 대부분 5일 이내 신고하게 되어있다. 신고 전에 문제가 발생하면 정보 파악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

신고기간을 단축하는 방법도 있지만, 사업자 대부분이 영세해 현실적이지 못하다. 단계별로 각종 증명서를 종이로 전달(복사 등)하는 과정에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위·변조 위험도 있다.

새로 구축한 '블록체인 기반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은 쇠고기 유통 단계별 이력정보와 각종 증명서를 블록체인에 저장·공유, 현행 이력제 업무 신뢰성과 신속성을 동시에 향상시킨다. 정보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축산농장과 개별 소에 블루투스 장치를 부착했다. IoT를 활용해 관련 정보를 자동 입력한다.

기존 5일 이내 신고대상 정보들뿐만 아니라 세분화된 정보(소 개체 단위→실물 포장단위)를 실시간 수집·저장한다. 문제 발생 시 유통과정 추적시간을 10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다. 유통 증명서도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때문에 서류 위변조 걱정 없이 모바일 앱이나 웹으로 내용을 공유·확인할 수 있다.

농식품부는 시범사업 성과에 따라 참여 기관을 확대하고 돼지 등 다른 가축 이력제 적용을 검토할 예정이다. 축산물 이력관리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민간 추가 정보(창고 온·습도 등)를 함께 관리, 부가가치가 높은 축산물 유통 서비스가 출시될 수 있도록 협조할 계획이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이번 시범사업은 블록체인 기술을 국민 먹거리 안전에 활용한 것”이라며 “내년에도 블록체인 기술이 국민생활과 밀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병홍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시범사업을 통해 블록체인 및 IoT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충분히 검증하고 민간 및 관계기관 협업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