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발생한 서울 서대문구 KT아현지사 화재와 관련한 피해 복구 대책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지하 통신구 화재와 맞물려 전국 네트워크 시설에 특별 점검과 상시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소방법상 설치가 의무화돼 있지 않은 500m 미만 통신구에 대해서도 폐쇄회로(CC)TV·스프링클러 등을 최단 시간 안에 설치하겠다고 덧붙였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통신 3사 최고경영자(CEO) 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후속 대책을 논의했다. 통신 3사 간 로밍 협력, 이동기지국과 와이파이를 상호 지원해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통신사가 자체 점검하는 D급 통신시설도 점검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KT는 26일 오전 기준으로 이동전화는 80%, 인터넷은 98% 각각 복구됐다고 밝혔다.
빠른 속도로 피해가 복구되고 있다니 다행이다. 정확한 화재 원인 파악과 피해 복구도 시급한 사안이지만 근본 문제를 짚어 봐야 한다. 일부 통신구 문제로 해당 지역과 인근 통신망 및 전산망 자체가 전면 마비된다면 통신망 체계에 결함이 있다는 얘기다. 한마디로 백업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를 노출했다. 이중화 구조부터 우회 선로 확보 같은 사고에 따른 예비 망이 없거나 전혀 가동이 안 된 것이다. 특정 지역에서 예기치 못한 사고도 피해가 이 정도라면 의도해서 몇 군데 지역 통신구를 테러리스트가 공격한다면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대한민국 모든 네트워크가 '올 스톱' 되는 상황도 가능하다. 국가 마비 사태가 단순한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니다.
근본 대책을 고민해야 한다. 더욱이 우리는 세계가 인정하는 정보기술(IT) 강국이다. 그것도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사고는 항상 예기치 않은 곳에서 발생한다. 아무리 철저하게 대비해도 모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건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사고 이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네트워크 불통에 따른 피해는 너무나 크다. 국가 재난 차원에서 통신망과 전산망 장애에 따른 후속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