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수소경제' 인프라 경제성 확보 숙제

수소경제를 확산하기 위해서는 수소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이 필수다. 하지만 부지 선정과 높은 구축비용에 따른 경제성 확보 어려움, 폭발 위험 등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 수소충전소.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 수소충전소.

가장 큰 걸림돌은 충전소 구축·운영 비용이 과다하다는 점이다. 수소융합얼라이언스포럼에 따르면 수소충전소당 구축 비용은 30억원 정도다. 정부가 구축보조금 50%, 최대 15억원을 지원해도 15억원이 필요하다. 가스업계에 따르면 추가로 수소충전소 연간 운영비는 1억5000만~2억원 정도다. 인건비, 설비 유지관리비, 전기요금 등이다.

15억원이 넘는 목돈을 들여 수소충전소를 세워도 연간 수익이 3억원은 넘게 나와야 해볼 만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현재 수소차 보급대수(10월 기준 592대 보급)가 적어 가동률이 낮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충전소 설치 시 주변 주민 민원이 다수 발생할 것이 우려되는 등 수소충전소 부지를 마련하기도 어렵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가 부지 선정 문제 완화를 위해 상업지역, 준주거지역 등 용도지역에 수소충전소 입지제한 완화 내용을 포함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개정안'을 입법예고한 상태다.

비싼 수소 수송비용도 문제다. 튜브트레일러를 통해 운송한 수소로 충전소 운영 시 지역별 수소가격 격차가 커지기 때문에 석유화학단지 근접 지역 외에서는 경쟁력이 떨어진다.

환경부에 따르면 수소 생산지에서 100㎞ 이내는 부생수소 생산가(2000원)의 2~3배, 200㎞ 이상은 3배 이상 가격이 상승한다. 정부는 7년(10만㎞) 운행 시 경유차와 운영비가 같아지는 적정 판매 가격을 ㎏당 6000~8000원으로 책정했다. 정부 방침에 맞춰 울산지역은 5500원, 창원 팔용 수소충전소는 8000원으로 충전요금을 책정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민간 분야 수소충전소가 확산되면 이 가격을 맞추기는 어렵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수소유통거리 증대에 따른 수소 가격 편차로 수소충전소 위치 선정에 제약이 있어, 현재 수소충전소는 서울, 충남, 광주, 창원, 울산 지역에만 설치됐다. 부생수소가 생산되는 주요 석유화학단지 근접 지역을 제외하고는 수소 운송비용 부담이 커 수소 충전 비용을 경쟁 내연기관 연료 대비 낮게 책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함봉균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