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으로 한해 사회경제적 손실이 11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은 당뇨병, 지역은 전라도가 비만으로 손실을 가장 많이 야기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10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비만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03~2004년 일반건강검진 수검자 중 비만 관련 질병 과거력이 없는 1009만1251명을 대상으로 했다.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11조4697억원에 달했다. 의료비 손실규모가 5조8858억원으로 전체 51.3%를 차지했다. 생산성 저하액 2조3518억원(20.5%) △생산성 손실액 1조4976억원(13.1%) △조기 사망액 1조1489억원(10%) △간병비 4898억원(4.3%) △교통비 940억원(0.8%)이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비만인 남자에 의해 발생한 비용이 전체 56.6%인 6조4905억원으로 나타났다. 여자는 4조9774억원이다. 남자가 여자에 비해 손실이 1.3배 높았다. 연령별로는 50대가 전체 26.8%로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60대(21.2%), 40대(18.2%), 70대(15.9%), 80대 이상(7.3%)으로 나타났다.
질병군별 손실비중은 2016년 기준 당뇨병이 2조624억원(22.6%)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고혈압 1조9698억원(21.6%), 허혈성심장질환 7925억원(8.7%), 관절증 7092억원(7.8%)으로 나타났다.
비만에 따른 1인당 의료비 손실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라도였다. 전라남도가 약 33만8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전라북도가 약 32만5000원으로 뒤를 이었다. 부산광역시 약 31만6000원, 강원도 약 30만7000원을 기록했다. 지역별 비만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제주였다. 소득순위별 비만율에서는 여성의 경우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비만율은 더 높았다.
이선미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30~50대, 고혈압과 당뇨병에서 높은 손실비중은 비만이 생산가능인구 건강을 저해하고, 만성질환 진료비 증가에 기여함을 보여준다”면서 “향후 비만관리대상 우선순위 설정 시 고려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