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감소하는 스타트업 초기 투자…"정부, 인내 자본 투자기구 구성 필요해"

국내 스타트업 설립 초기 단계 금융지원이 부족한 만큼 정책적으로 장기간 자금을 묻어두는 '인내 자본'을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인내 자본은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와 대출을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기업 성장단계에서 장기 시계를 갖는 자본 의미로 많이 일컫는다. 실제 영국은 지난 2017년 인내 자본을 위해 영국산업은행 자회사로 영국 인내 자본을 지난해 상반기 출범했다.

13일 한국금융연구원이 발표한 '혁신성장을 위한 인내 자본 투자기구 도입'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창업 3년 이하 초기 단계 벤처기업에 신규 투자된 금액은 8972억원이다. 이는 전체 신규 투자액(3조1217억원) 28.7% 수준이다.

2017년 벤처기업 신규 투자금액 가운데 초기 단계 투자액 비중인 32.8%(7796억원), 2016년도 36.8%(7909억원)보다 줄어든 규모다.

벤처 산업에 새로 투자되는 돈은 해마다 조금씩 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창업 중·후기 투자에 몰려있다. 초기 투자 비중은 여전히 적다.

창업 초기 단계부터 투자하는 것은 원금 회수 불확실성이 높아 민간에만 기대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에 노형식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인내 자본이 기업 성장단계 초기 단계에서부터 투자되는 경우 투자원금과 투자성과 회수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 크기 때문에 민간 자본 단독으로 인내 자본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며 “장기적인 비유동 자산인 투자대상 기업에 자금을 묶어 둬야 하는 인내 자본 성격상 민간 자본이 인내 자본에 투자하더라도 그 비중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노 연구위원은 정부 차원에서 창업 초기 맹아 단계부터 확장 단계까지 장기적인 안목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인내 자본 공급정책 필요성을 역설했다.

따라서 정부가 인내 자본 투자기구를 구성하고 유동성 공급자로 참여하되 민간이 투자 대상을 선별하는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 연구위원은 “투자 대상이 되는 산업이나 기업,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시장 판단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우선 보험사 등이 민간투자에 참여하는 형태로 출발하고 개인투자자 참여는 충분한 시간을 들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