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원전해체산업시장은 성장 잠재력이 크다. 1960~1980년에 건설한 원전 사용기한 만료가 임박해 오는 2020년 들어 해체에 들어갈 원전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현재 기준으로 가장 구체적이고 정확한 예측은 2015년 정부가 관계부처 합동으로 내놓은 ' 안전하고 경제적인 원전해체와 원전해체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안'에 담겨있다. 글로벌 컨성팅 기업 '딜로이트'가 참여한 이 안은 해체 원전이 2020년대 183기에서 2030년대 이후 216기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원전 해체 비용 역시 2014년 기준 440조원에 달해 막대한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추산했다. 당시 기준으로 2015~2029년 해체비용 72조원이 소요되고, 2030~2049년에는 185조원에 달하는 비용이 들 것으로 봤다. 현재 기준으로 물가 상승분을 따지면 시장 규모는 훨씬 커진다. 우리나라 기업이 원전해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막대한 국가 이익 창출이 가능하다.
관건은 원전해체 기술 보유다. 원전해체 시장 참여는 안전성을 담보하는 기술 확보가 기본 전제다. 다행히 우리나라에서는 이전부터 관련 기술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원전해체 핵심 기초기술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주축이다. 원자력연은 1997년부터 1, 2호기와 우라늄 변환시설 해체사업으로 원자력시설 해체 핵심 기술을 개발·확보해 왔다.
지난 2012년부터는 원전해체에 꼭 필요한 핵심 원천 기술 38개를 개발하고 있다. 이미 28개는 기술개발이 완료됐다. 오는 2021년까지 나머지 10개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상용화 기술은 현재 한국수력원자력이 주된 역할을 맡고 있다. 자체 선정한 58개 상용화 기술 가운데 지난해 기준 45개를 개발·보유하고 있다. 13개 기술도 역시 2021년 확보 예정이다.
원전해체연구소가 설립되면 더 많은 상용화 기술이 개발되고 기술고도화가 이뤄질 전망이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
김영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