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수소경제 사회'로의 도약을 천명했다. 지난 2005년 노무현 정부에서 '수소경제 마스터플랜'이 수립된 이후 14년만의 재가동이다.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수소경제법 등 제도를 정비하고, 핵심기술과 원천기술을 국산화한다. 국무총리 위원장으로 한 '수소경제추진위원회'를 구성,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낸다.
![정부, '수소경제 사회' 도약 청사진 제시…문 대통령 "신성장동력 마련할 절호 기회"](https://img.etnews.com/photonews/1901/1149327_20190117114905_664_0001.jpg)
문 대통령은 17일 울상시청에서 열린 '수소경제 로드맵' 발표 자리에서 “수소경제는 에너지원을 석탄과 석유에서 수소로 바꾸는 산업구조의 혁명적 변화”라며 “우리로서는 국가 에너지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면서 신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밝혔다.
이미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수소차 양산에 성공했고, 핵심부품 99%를 국산화했다. 또 한 번의 충전으로 600㎞까지 달릴 수 있다. 정부는 기술 경쟁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판단, 세계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위한 청사진을 발표했다.
이날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로드맵은 수소경제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소 생산, 저장, 운송, 활용 전 분야에 걸친 세부추진 내용이 담겼다. 공급 측면에서 △법·제도 정비 △핵심기술과 원천기술 국산화 △수소 생산·저장·운송 방식 다양화로 비용을 낮춘다.
수요측면에서는 승용차·버스에 지급되는 보조금을 택시와 트럭까지 확대한다. 경찰버스 820대도 2021년부터 수소버스로 교체한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누적 1조원 수준인 수소경제 효과를 2022년 16조원, 2030년 25조원으로 키운다. 고용유발인원은 현 1만 명 수준에서 2022년 10만 명, 2030년 2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문 대통령은 “2030년 수소차와 연료전지에서 모두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며 울산을 세계적인 수소경제 선도 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
대규모 석유화학 단지에서 수소차 확산에 필요한 부생수소를 생산·저장할 수 있고, 세계 최초 수소상용차 공장이 가동되고 있어 지리적인 이점이 높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세계 최초 수소상용차 공장이 가동되고 있고 수소차 보급 대수 역시 울산이 전국 1위”라며 “수소경제를 위한 기반과 함께 1천여개의 에너지 기업과 연관 기업, 실력 있는 학계·연구계가 조성된 울산은 수소경제 선도 도시가 될 여건을 갖췄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울산이 성공하면, 대한민국도 성공한다”면서 “산업수도 울산, 성공 DNA를 보유한 울산이 경제 성장판을 다시 열어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