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중심 남북경협, 노동집약 넘어 고도화된 비즈니스 모델 실행해야"

중소기업 중심 남북 경제협력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비즈니스 전략 모델이 제시됐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는 23일 박정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중소기업형 남북 비즈니스 모델”을 토론회를 개최했다.

'중소기업형 남북비즈니스 모델'은 중소기업의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남북경협 참가를 지원하고자 설계된 경제협력모형이다. 투자금, 인력, 경협, 경험 등 기업 경영환경에 맞는 북한 진출방식과 지역을 고려해 설계했다.

"中企 중심 남북경협, 노동집약 넘어 고도화된 비즈니스 모델 실행해야"

주제발표에 나선 이재호 중소기업연구원 동북아경제연구센터장은 “중소기업은 정부 지원보다는 기업 자체 독자적 판단과 준비를 통해 남북경협 사업을 진행해 왔다”며 “이로 인해 여러 성과에도 불구하고 사회주의 체제상의 문제, 북한 정부 문제, 우리 기업 문제 등으로 다양한 한계에 직면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한계 극복을 위한 중소기업형 남북 비즈니스 모델로 △진출형태별 연계 모델(합영, 합작, 단독투자 등) △결합형 모델(중소기업협동조합-북한 협동조합) △지역산업연계 모델(경제개발구, 북·중·러 접경) △공정간 연계 모델(남·북·중 연계), △서브(Sub) 진출 모델(대기업 인프라 협력) 등을 제시했다.

이 센터장은 “남북경협이 다시 시작될 경우 노동집약적인 형태를 넘어 체계적, 안정적 환경 속에서 남북경협 고도화를 위한 전략 틀 내에서 추진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궈샨 중국 옌볜대 교수는 북한이 선쾌후만(先快後慢) 선이후난(先易後難) 경제 전략을 선택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회복이 빠르고 쉬운 것부터 시작하고 늦고 어려운 것은 뒤로 한다는 의미다.

아울러 해외와 경제협력에 있어서는 동쪽의 원산·금강산, 서쪽의 신의주, 남쪽의 개성, 북쪽의 나진·선봉 경제특구를 중심으로 개발이 추진될 것으로 봤다. 일본, 러시아 등과도 다자 협력이 예상되는 만큼 한국 기업도 포지셔닝을 정확히 할 것을 주문했다.

토론자로 나선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부소장은 “ICT 등 첨단기술 발전을 도모하는 북한에 맞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며 벤처기업이 나설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연구 필요성도 제시했다.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은 “북한도 시장경제 시스템을 갖추어 나가는 만큼, 값싼 노동력에만 기대는 기존 모델을 넘어 비즈니스 파트너이자 상생 대상으로 바라봐야 한다”며 “다양한 경제협력 성과를 창출해 나간다면 중소기업 북한 진출 또한 자연적으로 따라올 것”이라고 말했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