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3년까지 332조원을 투입해 고용·교육·소득·건강 등 분야에서 포용적 사회보장체계를 구축한다.
보건복지부는 12일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사회보장기본계획은 정부가 사회보장 증진을 목적으로 5년마다 수립하는 것이다. 제2차 계획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기본계획을 담았다.
제2차 계획에 따르면 2023년까지 4대 분야별 핵심과제를 추진한다.
고용·교육 영역에서는 고교 무상교육 시행과 고용보험 확대 등으로 157만명에게 혜택이 돌아간다. 또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연간 노동시간 단축 등이 추진된다. 소득보장 분야에서는 기초생활보장제도 사각지대를 해소해 42만명을 지원, 334만 가구에 근로장려세제 혜택 등을 제공한다.
건강보장에서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MRI·초음파 등 단계적 급여화, 지역 간 필수의료격차 해소, 예방적 건강관리 체계 구축 등을 통해 병원비 부담을 3분의 1 수준으로 낮춘다.
사회서비스보장 영역에서는 생애주기별·대상별 사회서비스 확충, 지역사회 통합돌봄체계 완성, 국공립 돌봄시설 확충, 공공임대주택 연평균 13만호 공급 등을 추진과제로 꼽았다.
제2차 계획에 소요될 재원은 약 332조원으로 각 소관 부처 국가재정 운용계획과 매년 예산요구안에 우선 반영한다.
정부는 5년간 세부계획을 토대로 2040년까지 나아가고자 하는 중장기 목표도 제시했다.
정부는 2차 계획을 통해 OECD 삶의 만족도(2017년 기준 28위) 지수를 2023년까지 OECD 평균수준(20위)으로 올리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고용·교육, 소득, 건강, 서비스 등 분야별 단계적 목표도 발표했다.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2017년 22.3%에서 2023년 18%, 2040년 15%로 낮추고, 상대빈곤율은 17.4%(2017년)에서 15.5%(2023년), 11.3%(2040년)로 줄인다.
건강수명은 73세(2016년)에서 75세(2023년), 78세(2040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사회서비스 투자 비중은 5.7%(2015년)에서 7.4%(2023년), 10.7%(2040년)로 높인다.
보건복지부 배병준 사회복지정책실장은 “수립된 시행계획 추진실적을 매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다음해 시행계획에 반영, 미흡한 과제는 개선방안을 제출하도록 하여 계획의 실행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윤형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wh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