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북미정상회담]트럼프, 김정은에 '내 친구'라고 호칭 ... '베트남 모델' 제시

2차 북미정상회담이 베트남 하노이에서 27일 시작됐다. 같은 시각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뉴스를 보고 있다.
2차 북미정상회담이 베트남 하노이에서 27일 시작됐다. 같은 시각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뉴스를 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베트남 모델' 카드를 꺼냈다.

북한이 비핵화한다면 매우 빠른 속도로 베트남과 같은 번영을 누릴 것이란 점을 내세워 '베트남의 길'을 걸으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비핵화시 밝은 미래 보장이라는 미국의 기존 입장 연장선에 있는 것이지만, 이번 2차 북미 정상회담 무대가 바로 과거 미국과의 적대국에서 동반자 관계로 탈바꿈해 개혁·개방 정책으로 경제적 번영을 이룬 베트남이라는 점에서 상징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핵을 포기하고 베트남의 길을 가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메시지는 결국 김 위원장이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에 나서는 결단을 하도록 압박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진행될 김 위원장의 단독회담 및 만찬을 몇 시간 앞두고 띄운 트위터 글에서 “베트남은 지구상에서 흔치 않게 번영하고 있다. 북한도 비핵화한다면 매우 빨리 똑같이 될 것”이라며 “잠재력이 굉장하다. 내 친구 김정은에게 있어서는 역사상 거의 어떤 곳에도 비견할 수 없는 훌륭한 기회”라고 말했다.

한때 김 위원장에게 '사랑에 빠졌다'는 표현으로 각별한 사이를 자랑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는 '내 친구 김정은'이라는 친근한 표현을 써가며 '결단 촉구'와 '유화책 제시'라는 두 가지 메시지를 동시에 던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내 친구'라고 부른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김 위원장과의 개인적 관계를 내세워 자신 만이 김 위원장을 설득할 수 있다고 강조해왔다.

20시간 20분의 비행을 거쳐 전날 밤 하노이에 도착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김 위원장과 대좌하기에 앞서 첫 공식 일정으로 응우옌 푸 쫑 국가주석, 응우옌 쑤언 푹 총리와 등 베트남 정부 최고위층과 릴레이 회담을 갖는 것도 북한을 향한 우회적 메시지 발신 차원도 있어 보인다.

베트남은 베트남전(1964∼1975년)을 거치며 미국의 적국이 됐으나 종전 20년 만인 1995년 미국과 국교를 다시 수립하고 관계를 정상화했다. 이 과정에서 1985년부터 베트남전 실종 미군 유해 송환을 위해 미국과 본격 협력하기 시작한 것이 적대 관계 청산 및 관계 정상화로 가는 신뢰 구축의 본격적인 출발점이 됐다. 베트남은 지난 2016년 사실상 미국의 마지막 제재라고 할 수 있는 무기금수에서도 벗어났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