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국을 포함한 세계 주요 국가가 인공지능(AI) 시장 선점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연구센터 유치와 AI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국력을 쏟고 있다. 민간 투자가 부족한 부분은 정부가 메꾸고 관련 제도도 마련한다.
프랑스가 연구센터 유치에 가장 적극적이다. 작년 1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글로벌 주요 기업 경영진 140여 명을 베르사이유궁으로 초대했다. 노동시장 개편, 세금 인하, 규제 완화를 약속했다.
가시적 성과는 나왔다. 삼성전자가 파리에 AI 센터를 설립했다. IBM은 향후 2년간 인공지능, 블록체인 인재 1800명을 채용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I 전문가 100명 채용과 3년간 3000만 달러 투자를 약속했다.
중국은 풍부한 자금력과 인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 AI 연구센터를 유치했다.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BAT)도 힘을 보탰다. 텐센트 선진 AI 연구센터, 바이두 텐진 AI 연구센터가 대표적이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퀄컴도 베이징에 AI 연구센터를 세웠다.
캐나다는 탄탄한 연구 기반을 바탕으로 연구센터를 설립한다. '캐나다고등연구원(CIFAR)'이 AI 연구 주축이다. CIFAR은 자유로운 연구문화가 특징이다. 조건 없이 도전적 연구 분야에 지속 투자한다. 정부가 지원하는 AI 연구자 350명 중 절반이 다른 나라 출신이다. 캐나다 주요 대학에도 AI 연구소를 꾸리고 글로벌 기업 AI 연구소 유치에도 나선다. 삼성전자, 구글이 몬트리올에 이미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해외 우수인력 유치를 위해 외국 기술자 고용 시, 비자와 근로 허가 수속을 2주 내 처리한다. 대규모 투자를 검토하는 회사에는 채용 절차를 단축해준다. 학술 목적을 포함한 초단기 근무(30일 이하)에 대해선 근로 허가를 면제한다.
정부 주도 기술개발이 가장 활발한 국가는 중국과 미국이다. 그러나 이 둘은 대조적인 정책을 펼친다. 미국은 기초연구와 민간 투자가 없는 분야에 집중한다. 중국은 국가와 대기업을 중심으로 AI 산업을 육성한다.
미국은 응용산업 활성화는 민간에 맡긴다. 대신 정부는 민간이 투자할 가능성이 낮은 분야에 힘을 쏟는다. 장기투자, 인간-AI 협업, 안전과 보안 등 7개 분야를 중점 키운다.
중국은 2020년까지 AI 분야에서 독보적 상품을 선보인다. 글로벌 선도국가가 될 계획이다. 의료, 교통, 농업 등 영역별 애플리케이션(앱)을 집중 개발하며 구체적 달성 수치까지 정부가 제시한다. 바이두(자율주행차), 알리바바(스마트 도시)와 같은 중국 대표 들도 기술개발에 역량을 쏟는다.
한편, 일본은 국내외 최고 AI 연구자를 모으기 위해 연구거점을 마련했다. 개방형 AI R&D 플랫폼도 구축했다. 혁신지능통합연구센터 이화학 연구소를 중심으로 기술개발 프로젝트 AIP()도 추진 중이다. 3개 연구 그룹(총 52개팀)과 기업협업센터로 구성됐다.
[표]국가별 AI 발전 전략
(출처=한국인공지능협회)
김묘섭 수습기자 my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