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 치매 조기진단 AI기술 공동 개발

국내 연구진이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촬영한 뇌 영상을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알츠하이머병 진행 여부와 치매 진행단계를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치매 환자 조기 발굴 및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단장 이건호 교수)은 이보름 광주과학기술원(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을 촬영해 뇌의 활동을 딥러닝 AI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6년간 실시한 무료 치매정밀 검진사업을 통해 축적한 생체의료 빅데이터를 통해 치매 조기진단 및 판별할 수 있는 AI 기술 개발을 추진했다. 치매환자를 포함 65세 이상 한국인 491명을 대상으로 뇌영상 AI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상인과 가벼운 인지장애 증상을 보이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구별해내는 정확도가 94.2%에 달했다. 이는 신경과 전문의가 진단한 치매등급(CDR) 판별 정확도 92.3% 보다 높은 수치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치매 판별 AI 기술을 공동 참여기업인 인포메디텍을 통해 상용화할 계획이다.

이건호 단장은 “조만간 임상실험을 통해 유효성 검증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빠르면 1년 이내 일선 의료현장에 적용해 치매 환자 조기 발굴과 치매 예방 및 발병억제까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전문학술지 '프론티어 인 에이징 뉴로사이언스'와 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가 발행하는 과학 저널 '플로스 원(PLOS one)' 등에 2편의 논문이 연이어 게재됐다.

정상인 대비 치매환자군 및 정상인 대비 경도인지장애군의 뇌내 네트워크 활동성 비교.
정상인 대비 치매환자군 및 정상인 대비 경도인지장애군의 뇌내 네트워크 활동성 비교.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