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스트레스를 받아도 개인에 따라 우울 정도의 차이가 있는 이유가 밝혀졌다. 우울증 치료제 개발의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뇌연구원(원장 서판길)은 구자욱·정윤하 뇌질환연구부 박사가 미국 마운트사이나이대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사회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우울증을 일으키는 새 유전자를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우울증은 유전적 기질보다 후천적 요인이 많이 작용한다. 특히 개인 간의 지속적인 갈등, 폭력 등 사회적 스트레스 현상은 우울증의 주요 원인이다.
하지만 같은 사회적 스트레스를 받아도 개인에 따라 우울 정도가 달라지는 이유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다. 도 뇌 보상회로인 측좌핵에서 뇌성장유래인자가 우울행동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자세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는 실험을 통해 뇌성장유래인자(BDNF)가 포함된 신호전달 체계에서 Gadd45b라는 유전자가 개인에 따라 달라지는 우울행동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Gadd45b 유전자는 평소 억제돼 있던 몇몇 타깃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행동을 증가시켰다. Gadd45b는 본래 신경가소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로 기업과 학습과정에도 작용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가 우울증 발병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한 것이다.
구자욱 책임연구원은 “후속 연구를 통해 특정 개체가 사회적 스트레스와 우울증에 취약한 이유와 이런 성향이 자식에게 유전되는지 여부를 규명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우울증 진단 및 치료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
-
정재훈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