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다음주께 러시아 방문설 '솔솔'...현지 소식통 “연해주서 북러정상회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다음주 께 러시아를 방문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북러 관계에 정통한 소식통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국내 행사 참석차 24일 께 극동 지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 무렵에 북러정상회담이 실제 열릴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김정은, 다음주께 러시아 방문설 '솔솔'...현지 소식통 “연해주서 북러정상회담”

이 소식통은 “푸틴 대통령이 오는 26~27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정상포럼에 참석할 계획”이라면서 “포럼에 참석하러 가는 길에 극동 연해주에 들러 국내 행사에 참석하고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소식통도 “일대일로 행사 전이나 후에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매우 크다”면서 “실제로 준비 정황으로 추정되는 북한 측 일부 움직임이 포착됐다”고 말했다.

외교 전문가들은 지난 2월 말 베트남 북미정상회담이 성과 없이 끝나면서 김 위원장이 미국 측을 압박하기 위해 이미 네 차례나 방문한 우방 중국에 이어 또 다른 우군인 러시아를 조만간 찾을 것으로 예상했다.

북한 지도자 해외 방문 의전을 책임지는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이 지난달 19~25일 러시아를 다녀간 것이 확인되면서 북러회담 개최설이 설득력을 얻었다. 김 부장은 중국 베이징을 거쳐 모스크바에 와 크렘린궁을 여러 차례 방문했다. 극동 블라디보스토크를 경유해 귀국했다.

북한과 러시아 측은 양국 정상회담 계획에 대해 구체적 확인은 하지 않고 있다. 유리 우샤코프 러시아 대통령 외교담당 보좌관은 지난 5일에도 기자들에게 “양측이 모두 이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러시아는 (김 위원장 방러) 시기와 관련한 구체적 제안을 했으며 이 문제가 여전히 협의 단계에 있다”고만 밝혔다.

그는 “(김 위원장) 초청 문제는 이미 1년 동안 논의돼 왔다. 몇 가지 시기가 논의됐다. 이미 지나간 이른 시기도 있었다”면서 “아직 (방문) 변수들, 장소와 시기 등을 조율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5월 말 평양을 방문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을 통해 김 위원장이 같은해 9월 극동 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하거나, 별도로 러시아를 방문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일각에선 중국 베이징 일대일로 포럼에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현지에서 북러 양자, 북중러 3자 정상회담도 열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한다.

안영국 정치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