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신성철)이 스트레스에 따른 신체 반응을 조절하는 일명 '스트레스 세포'를 정밀 관찰하고, 이들이 가진 새로운 역할을 밝혀냈다.
KAIST는 서성배 생명과학과 교수팀이 뉴욕대와 공동연구로 스트레스 조절인자로 알려진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방출인자(CRF)'를 초 단위로 관찰하고, 새로운 연구성과를 도출했다고 18일 밝혔다.
CRF는 체내 시상하부에서 뇌하수체, 부신으로 이어지는 'HPA 축'을 조절한다. HPA 축은 각종 스트레스에 대응해 생리학 반응을 조절하는 영역이다. CRF가 스트레스 대응에 주요 역할을 하는 셈이다.
CRF는 이전부터 동물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예측이 있었지만 실제 확인은 어려웠다. 실험체를 부검해야 변화를 알 수 있어 30분 단위로만 측정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CRF 세포 활성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파이버포토메트리'를 이용해 다양한 자극에 노출한 쥐를 관찰했다. 초 단위로 세포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 결과로 맛있는 음식과 같은 긍정적 자극을 접했을때 CRF가 억제되고, 위협 상황에서는 CRF가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CRF 세포 활성도가 대상에 대한 선호도를 판단하는 중요 역할을 한다는 것도 증명했다. CRF 세포 자극으로 특정 환경을 싫어하거나 좋아하게 만들 수도 있다.
서성배 교수는 “우울증, 불안증,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 질환은 스트레스와 관련성이 높다”며 “생쥐를통해 실시간 측정하고 우울증 치료제 효과를 시험하는 것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