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건 넥슨 데브캣스튜디오 총괄 프로듀서가 NDC2019에서 기조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넥슨](https://img.etnews.com/photonews/1904/1179787_20190424172204_942_0001.jpg)
“게임 개발자들의 기억과 경험을 기록하고 나누는 것이 더 나은 게임을 만드는 근간입니다.”
김동건 데브캣 총괄프로듀서는 24일 개막한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NDC) 2019에서 한국 게임산업 경험을 보존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한국 게임이 발전이 없다고 평가받는 것은 과거가 너무 빨리 유실되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개발자들 기억, 경험 속에 있는 것을 기록하고 나누는 것이 앞으로 더 나은 게임을 만드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김 총괄은 “미래를 위해 과거 이야기를 해야 한다”면서 “과거 게임이 각의 점으로 존재하고 있고 그 점들이 각자 사라져가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 점을 이어 미래의 게임으로 선을 이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총괄은 “외국 게임은 30년 전 게임도 쉽게 구할 수 있고, 소스코드도 찾아볼 수 있지만 한국 게임은 그렇지 않다”면서 “한국 게임들의 과거 이야기들은 사라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직접 총괄했던 온라인게임 '마비노기'를 기록이 보존된 사례로 꼽았다. 마비노기는 데브캣스튜디오가 만들고 넥슨이 서비스 중인 온라인게임이다. 2000년대 '카트라이더' '메이플스토리'와 함께 넥슨 성장을 이끈 한 축 이었다.
김 총괄은 “마비노기는 운이 좋게도, 아직 게임을 서비스 하고 있고 옛날 자료도 많이 남아있다”면서 “게임을 만들었던 스텝도 넥슨에 아직 많이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데브캣스튜디오는 현재 '마비노기 모바일'을 만들고 있다. 시대에 맞춘 재해석에 중심을 뒀다. 기획 등 초기 자료가 충분히 남아있기에 가능하다.
김 총괄은 “마비노기 모바일은 옛날 게임의 충실한 복각보다 과거의 마비노기가 주었던 느낌, 보여주고자 했던 것을 현 시점에 맞춰서 다시 만들어보는 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
김 총괄은 마비노기 개발 비화를 공개하며 기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사람들이 온라인 게임을 열심히 하는 것은 친구를 사귀기 위해 친구가 관심을 가질만한 장난감을 구하는 것과 비슷하다”면서 “그런 생각을 가지고 넥슨에 입사해 조금 튀는 기획서를 제안했고 마비노기 프로젝트가 시작됐다”고 소개했다.
김 총괄에 따르면 마비노기 프로젝트는 개발 과정에서 3D 그래픽 구현, 개발 DB 도입, 카툰렌더링, 자체 개발 엔진 사용 등 다양한 불안 요소가 있었지만 여러 시행착오를 통해 해결해 나갔다.
그는 “마비노기를 개발할 때 기존 게임보다 더 다정한 게임을 만들고 싶었다”면서 “친절한 조력자가 있고 작은 것을 유저들이 함께 나누는 분위기를 원했다”고 회상했다.
이 과정에서 '나오'라는 유명 NPC와 마비노기 스토리, 작곡 시스템 등 마비노기 특유의 콘텐츠가 탄생하게 됐다는 것이다.
김 총괄은 “프로젝트를 마무리하면서 '마비노기 개발완수 보고서'를 제작했다”면서 “이 보고서는 초기 기획과정부터 개발과정, 성과를 모두 담고 있고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NDC가 더 나은 게임이 나오는 토양이 돼야 한다는 바람을 밝혔다. 김 총괄은 “다른 많은 게임도 (마비노기처럼) 공개된 기록으로 이야기 됐으면 한다”고 강연을 마무리했다.
김시소 게임/인터넷 전문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