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2분기 지표 나오면 분위기 달라질 것"…금리인하론은 일축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부인했다. 2분기 경제 지표에 대해선 반등 여지가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최근 급등한 원/달러 환율과 관련 달러화 강세 기조와 계절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면서 한국경제 기초여건(펀더멘털)은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주열 총재는 1일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및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3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가 열리는 피지 난디에서 기자간담회에서 한국경제 성장률에 대해서 “2분기 경제 지표가 나오면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을 1%대 후반으로까지 하향 조정한 민간 경제전망에 대해선 “1분기 마이너스(-0.3%) 성장률 발표가 나온 이후 몇몇 기관이 전망치를 크게 낮춘 것으로 안다”며 “1.8% 성장 전망은 그야말로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한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범위에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앞서 노무라금융투자는 지난달 26일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4%에서 1.8%로 낮추는 등 1분기 마이너스 성장률 발표 직후 일부 기관이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이 총재는 채권시장의 장단기 금리가 역전된 것과 관련해서도 시장이 앞서가고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지난달 30일 연 1.699%를 나타냈다. 기준금리(연 1.75%)보다 낮은 수준이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와 기준금리 간 역전 현상은 금리 인하의 전조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 총재는 이 자리에서 “경기와 물가에 대한 전망, 금융안정 상황을 감안할 때 현재로서는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면서 금리인하론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1분기에 이례적인 요인도 있어 2분기에는 (경기가) 나아질 것”이라면서 “1분기에 너무 경도되지 않고 2분기 (지표를) 보면 지금과는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윤호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