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대비 수익률 -4.3으로 상위권, 업종평균치보다 높아 7일 오후 1시40분 현재 전일대비 2.01% 하락하면서 46,350원을 기록하고 있는 위메이드는 지난 1개월간 12.71% 하락했다. 동기간 동안 주가의 변동성 지표인 표준편차는 2.9%를 기록했다. 이는 디지털컨텐츠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위메이드의 월간 변동성이 주요종목군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주가등락률도 마이너스권을 나타내고 있다는 의미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위메이드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4.3을 기록했는데, 변동성은 컸으나 주가하락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위험대비 수익률은 적정 수준을 유지했다. 또한 디지털컨텐츠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5.0보다도 높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위메이드가 속해 있는 디지털컨텐츠업종은 코스닥지수보다 변동성은 높고, 등락률은 낮은 모습이다. 하락할 때 지수보다 탄력을 받고 있다는 의미이다. |
표준편차 | 수익율 | 위험대비 수익율 | |
위메이드 | 2.9% | -12.7% | -4.3 |
드림어스컴퍼니 | 2.9% | -23.4% | -8.0 |
웹젠 | 1.6% | -10.4% | -6.4 |
펄어비스 | 1.5% | -7.4% | -4.9 |
컴투스 | 1.1% | -4.6% | -4.1 |
코스닥 | 0.7% | 0.7% | 1.0 |
디지털컨텐츠 | 0.8% | -4.0% | -5.0 |
관련종목들도 일제히 하락, 디지털컨텐츠업종 -1.09% |
컴투스 | 99,900원 ▼700(-0.70%) | 드림어스컴퍼니 | 8,200원 ▼270(-3.19%) |
펄어비스 | 167,800원 ▼2200(-1.29%) | 웹젠 | 18,550원 ▼500(-2.62%) |
3월14일에 위메이드 4/4분기(2018년10월~12월)실적 발표됨 |
<발표치>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4/4분기 | 324.0억 | -393.0억 | -470.0억 |
직전분기 대비 | 1.9% 증가 | 적자지속 | 적자지속 |
전년동기 대비 | 11.2% 증가 | 적자반전 | 적자지속 |
외국인과 기관은 순매도, 개인은 순매수(한달누적) 5월2일부터 전일까지 외국인이 2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보였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매도 후 매수의 관점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21,188주를 순매도했고, 기관도 순매수에서 순매도로 반전되면서 56,778주를 순매도했지만, 개인은 오히려 순매수량을 늘리며 144,978주를 순매수했다. |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
주가등락폭이 작아 최근 한달간 위메이드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69%로 집계됐다. 동기간 일평균 변동률은 0%로 장중에 주가변화폭는 매우 작았던 것으로 보인다. 거래비중 기관 25.96%, 외국인 17.35%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54.23%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기관이 25.96%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17.35%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52.13%로 가장 높았고, 기관이 23.87%로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은 19.69%를 나타냈다. |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
주가와 거래량은 약세, 투자심리는 보통 |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큰 특징을 보이고 있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상승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한 상황이며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중기적 상승추세를 유지하기 위한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
주요 매물구간인 36,100원선이 지지대로 작용. |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