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휴먼스케이프, 암 환자 데이터 공동연구 맞손

이지열 서울성모병원 스마트병원장(왼쪽)과 장민후 휴먼스케이프 대표가 블록체인 기반 환자 커뮤니티를 활용한 암 환자 데이터 공동연구 협약을 맺고 기념사진을 찍었다.
이지열 서울성모병원 스마트병원장(왼쪽)과 장민후 휴먼스케이프 대표가 블록체인 기반 환자 커뮤니티를 활용한 암 환자 데이터 공동연구 협약을 맺고 기념사진을 찍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스마트병원(원장 이지열)은 휴먼스케이프와 블록체인 기반 환자 커뮤니티를 활용한 암 환자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번 협약으로 전립선암을 대상으로 공동연구, 임상평가 부문을 개발한다. 환자 편의성을 높이고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공동 연구한다.

전립선 암 환자는 운동처방이 중요하지만 병원 밖에서 환자 운동 경험을 의료진이 확인하기 어렵다. 웨어러블 기기로 환자 건강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입력에 따른 보상 등을 제공하는 체계를 개발한다.

서울성모병원 스마트병원은 스마트인프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원격의료, 스마트재활센터 등 5개 분야별 전문센터로 구성된다. 의료 편의성을 높이는 환자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개발과 모바일 전자의무기록(EMR)·전자간호기록(ENR) 등을 오픈했다.

휴먼스케이프는 개인 건강기록 서비스와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희귀난치질환 환자 건강 정보를 안전하게 수집하고, 제약사나 연구기관 등에서 데이터가 필요할 때 환자에게 적절한 보상을 지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데이터 유통과정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투명하게 관리한다. 환자 치료기회를 확대하고, 환자가 데이터 통제권을 갖도록 돕는다.

이지열 스마트병원장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해 환자 건강정보를 수집하면 환자는 데이터 입력으로 개인적 보상을 얻고, 생활습관이나 운동기록에 따라 맞춤형 진단을 받을 수 있어 진료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